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


<국제 금융 속보> 더욱 더 선명해지는 12월 금리 인상의 그림자


 

금리 인상의 그림자 짙어진다, FOMC 12월 금리 인상 시사

 

12월 미 금리 인상 가능성이 더욱 크게 점쳐진다. WSJ(월스트릿저널)에 따르면 FOMC(연방시장공개위원회) 위원 대부분 이른 시일 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동의를 표했다. 다만 고용 관련 지표와 물가 등 금리 인상에 대한 여파를 고려해 추가적인 근거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미국 내에서도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대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에 의하면 113주차 주택대출 신청지수는 460.3으로 전주 대비 5.5%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대출금리가 지난 1 이후 상승하는 가운데 12월 금리 인상이 될 경우 차입자가 금리를 현 수준에서 고정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주택 신규 구입대상 대출신청지수는 18.8%오른 234.1로 주간 상승률로는 201510월 이후 최대치로 기록됐다.

 

MBA(주택저당은행협회)Michel Frantantoni신규 주택구입 증가는 주로 고액 대출을 희망하는 차입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주택구입 신청 평균 대출액은 31만달러(한화 약 36천만원)로 통계를 작성한 이후 1990년 뒤를 잇는 최고 수준이다라고 전했다.

 

브렉시트 영국 경기에 미치는 영향 예상 아래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생각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잉글랜드 은행은 브렉시트 불확실성의 경기여파가 예상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잉글랜드 은행 포브스 위원은 불안을 부추기는 언론 보도가 늘어가고 성장 전망치 범위가 확대 되는 등 경제 불투명 척도에 영향을 받았으나 국민투표 이후 신용경색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의 경제 위기설은 타당하지 못하다고 반박했다.

 

이에 영국 해먼드 재무장관도 차입확대 정책 등으로 안정적 성장기반을 유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로이터는 영국 재무부의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브렉시트로 인한 경기 하방압력에 대응해 영국 정부는 향후 5년간 정부차입규모를 1220억 파운드 늘릴 계획이며, 이에 따라 2017~2018GDP 대비 공공부문 순차입액은 90.2%에 달할 전망이다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해먼드 재무장관은 영-EU 교역관계를 둘러싼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수입물가 상승으로 2021년까지는 잠재성장률이 2.4%p 로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재정균형 달성 노력을 지속하고 단기적으로는 재정 지원을 통한 경기 부양에 주력할 것이라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김건희, 檢에 제출한 '불출석 사유'가 기가 막혀
파면 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씨가 검찰에 오는 14일 소환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씨 측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씨 측이 제출한 사유서에는 "특정 정당의 공천 개입 의혹에 관한 조사가 강행되면 추측성 보도가 양산돼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김 씨에게 오는 14일 검찰청사로 나와 정치자금법 및 공직선거법 위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으라는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한편, 일각에서는 '명태균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 김건희 소환조사 통보는 일종의 쇼이자 꼼수라는 지적이 있다. 이미 윤석열·김건희 부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의지가 없다는 것은 '명태균 게이트' 관련 공천개입 의혹 수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특히 여전히 심우정 검찰총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지휘부가 윤석열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김건희 강제구인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고 보고 있다. 결국 김건희 수사는 검찰이 아닌 특검을 통해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특검을 통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