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산업


한화로보틱스, 남미 '자동화시장' 공략…협동로봇·AI 솔루션 동시 공개

브라질 ‘EXPOMAFE’ 전시서 로봇 솔루션 뽐내

 

 

한화로보틱스가 남미 최대 산업 전시회에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화로보틱스의 현지 파트너사인 HCR아메리카는 6일부터 10일까지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EXPOMAFE 2025'에 참여해 다양한 협동로봇 기반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올해 행사에는 약 6만 명이 방문했고, 전 세계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주요 기술은 산업별 맞춤 자동화 솔루션으로, 특히 작업자의 동작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모션 추적 기술이 주목을 받았다. 이 기술은 자동차 부품 등 복잡한 표면 처리 공정이 필요한 파우더 코팅 작업에 적합하며, 협동로봇 ‘HCR-10L’을 통해 구현됐다.

 

해당 로봇은 최대 1800mm까지 도달 가능하며, 가반하중 10kg 제품군 중 세계 최고 수준의 동작 반경을 자랑한다.

 

이외에도 중량 가공에 적합한 ‘HCR-14’와, 정밀 용접 작업용 ‘HCR-5A’ 등 다양한 로봇이 실제 시연에 투입돼 현지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전시 기간 동안 한화로보틱스는 AI 기반 3D 비전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머신텐딩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현장 계약 체결을 통해 실질적인 판매 성과도 확보했다. 또한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지역 5개 로봇 대리점과의 신규 파트너십도 맺으며 유통망을 확대했다.

 

회사 관계자는 “EXPOMAFE 참가를 계기로 남미 로봇 시장에서 한화만의 유연하고 안전한 자동화 기술을 적극적으로 확산할 계획”이라며 “현지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개인정보 유출' 테무 13억 과징금…“얼굴·주민번호도 무단처리”
중국 온라인 유통 플랫폼 ‘테무(Temu)’가 한국 소비자 몰래 개인정보를 해외로 넘긴 사실이 드러나면서, 우리 정부로부터 13억6,000여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통해 테무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대해 과징금과 과태료 처분, 개인정보 관리체계 개선 권고 등을 결정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4월부터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업체들을 대상으로 국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해왔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해 7월, 개인정보 국외 이전 관련 규정 위반으로 19억7,800만원의 과징금을 선고받은 바 있다. 반면 테무는 매출 관련 자료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아 처분이 지연됐다. 김해숙 개인정보위 조사1과장은 “테무의 자료 제출이 미흡해 확인 작업이 길어졌고, 최근 입점 판매자 정보 수집 건도 함께 조사하면서 시간이 더 소요됐다”며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은 점도 고려돼 가중처분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테무는 상품 배송 등의 명목으로 한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여러 해외 업체에 위탁하거나 보관토록 했지만, 이용자에게 이를 고지하거나 개인정보처리방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