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1℃
  • 흐림강릉 11.5℃
  • 서울 17.6℃
  • 대전 17.7℃
  • 대구 17.5℃
  • 울산 17.0℃
  • 흐림광주 19.5℃
  • 부산 17.3℃
  • 흐림고창 19.1℃
  • 구름많음제주 21.6℃
  • 흐림강화 14.9℃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7.1℃
  • 흐림강진군 18.7℃
  • 흐림경주시 19.0℃
  • 흐림거제 17.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경찰청, 익명성 보장된 '스마트 국민제보' 운영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수배 범죄에 대한 정보를 경찰에 제보해 함께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국민 참여형 사회안전망 모델인 스마트 국민 제보, 목격자를 찾습니다!’ 서비스를 413일부터 개시했다.

 

사회 이슈가 된 긴급하고 중요한 공개수배 사건을 비롯해 현상 수배, 절도, 뺑소니 교통사고, 교통법규 위반, 선거사범 등 생활 속 각종 사건·사고에 대해 제보·신고하는 코너를 운영하며, 경찰이 특정 사건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면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클릭으로 제보하고 경찰은 처리 상황을 피드백해주는 쌍방향 소통 협력체계를 갖췄다. 사진, 동영상, 문자 등 제보한 정보는 인터넷에서 바로 확인, 편집할 수 있어 즉각적 제보가 가능하다.

 

범죄 보복을 우려하는 제보자의 심리를 감안해 기존 제보와 달리 익명 제보를 허용함으로써 제보자 신상 관련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게 배려했고, 스마트폰과 인터넷 모두 제보 플랫폼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마이 페이지에서 사건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지도에서 자신의 위치 주변에서 발생한 사건·사고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편리성도 더했다.

 

스마트 국민 제보, 목격자를 찾습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구글(플레이스토어)과 애플(앱스토어) 마켓, 이동통신 3(SKT, KT, LGU+) 앱 마켓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인터넷에선 네이버, 다음 등의 검색창에서 해당 사이트(onetouch.police.go.kr)로 이동해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공유, 개방, 소통, 협력의 정부3.0 가치를 실현하는 브랜드 과제에 선정돼 기획 단계부터 행정자치부와 경찰청이 협업으로 정부3.0 국민 디자인단활동을 벌여 사건 피해자는 물론 제보자들이 겪는 경험과 문제점을 분석해 더 손쉬운 제보 방안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했다.

 

경찰청 정보화협력계 변종문 경정은 “‘스마트 국민 제보, 목격자를 찾습니다!’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사건·사고 목격자를 찾는 현수막과 전단지가 손안의 PC로 쏙 들어간 치안 안전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이번 서비스는 우리 주변의 각종 범죄에 대한 국민의 능동적 제보와 지역사회 협력이 어우러져 더 안전한 치안 환경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부산 사상 '싱크홀', 부산교통공사 부실한 관리·감독이 원인
지난해 9월 부산 사상∼하단 도시철도 2공구의 대형 땅 꺼짐(싱크홀)이 부산교통공사의 부실한 시공사 관리·감독 등에서 비롯됐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대형 땅 꺼짐 관련 특정 감사를 진행한 결과, 굴착 공사 과정에서 품질·안전·시공 관리에 과실이 있었고 위법 사항도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감사는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20일간 부산교통공사와 시 철도시설과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감사위원회는 세부적으로 대형 땅 꺼짐이 379㎜에 달하는 집중호우와 더불어 차수 공사,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시공 관리 소홀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다고 말했다.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 품질시험 자격이 없는 하도급업체가 시험·작성한 품질시험 보고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시공사에 굴착을 진행하도록 해 지하수와 토사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교통공사는 건설사업관리단에 부진 공정 대책을 수립해 제출하라고 지시만 하고 대책이 수립·이행되는지 제대로 지도·점검하지 않았다. 또 새로운 공법 적용이 어렵고 추가 예산 확보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상부에 공사 진행상 문제점을 보고하지 않는 등 건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