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9 (화)

  • 구름많음동두천 12.3℃
  • 구름조금강릉 10.1℃
  • 구름많음서울 14.5℃
  • 흐림대전 13.8℃
  • 구름많음대구 12.7℃
  • 구름많음울산 14.7℃
  • 흐림광주 15.9℃
  • 구름많음부산 15.4℃
  • 흐림고창 14.4℃
  • 제주 16.4℃
  • 구름많음강화 13.9℃
  • 맑음보은 10.3℃
  • 흐림금산 14.1℃
  • 흐림강진군 15.8℃
  • 구름많음경주시 12.1℃
  • 구름많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경제


기업 부가가치 창출액 양극화

4대 그룹 140조2천억 GDP의 10% 수준

최근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중 보험·증권사를 제외하고 금융감독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425개사의 부가가치 창출액을 조사한 결과 총 254조1천6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해 GDP 1천440조 원(작년말 기준)의 17.6%에 달하는 규모다.

 

경기부진으로 인해 이익이 20조 원 감소한 데다 인건비와 금융비용 부담은 15조 원 더해져 부가가치 창출액이 4.8% 감소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7%에서 1.1%포인트 소폭 낮아졌다. 인건비가 115조 원(45.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과 감가상각비가 각각 27.6%와 24.6%였다. 

 

그룹별로는 500대 기업에 속한 삼성그룹 19개 계열사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68조 3천700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7%에 달했다.

 

현대차그룹(18개 기업)의 부가가치액은 37조 6천400억 원으로 GDP에서 2.6%의 비중을 차지했다. LG(14개)와 SK그룹(19개)의 부가가치액은 각각 19조 3천500억 원과 14조 8천800억 원이었다. 

 

이들 4대 그룹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총 140조 2천억 원으로 GDP의 9.7%를 차지했다. 2012년의 부가가치 총액에 비해 3.7% 증가했고 500대 기업 내 비중도 50.7%에서 55.2%로 높아졌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45조 원으로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의 GDP비중도 3.1%에 달했다. 현대차가 15조 9천억 원으로 그다음이었고 이어 삼성디스플레이(9조 6천억 원), 기아자동차(8조 원), SK하이닉스(6조 8천억 원), LG디스플레이(6조 600억 원), 포스코(5조 5천억 원), KT(5조 3천억 원) 순이었다. 

 

이들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부가가치는 113조 9천억 원으로 전년보다13.5% 줄었다. 

 

4대 그룹에 이어 포스코(11개·7조 9천억 원), 롯데(16개·7조 5천억 원), KT(5개· 6조 1천억 원), 현대중공업(6개·4조 6천억 원), GS(8개·3조 4천억 원), CJ(8개·2조 8천억 원) 순이었다.

 

이들 기업의 부가가치는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에 인건비, 감가상각비, 순금융비용, 임차료, 조세공과(법인세 제외) 등 감사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만을 집계해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CEO스코어는 설명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장애인 경제적 자립 위해 정부·지자체 노력 절실" 여야 한목소리
2024 전국 시·도별 장애인복지·교육 비교 결과발표 기자회견이 29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렸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번 조사를 공동 수행한 국민의힘 김예지·최보윤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참석했다. 2005년 지방분권화 사업 본격화 이후 중앙정부의 복지예산이 지방으로 이양되면서 지역 간 재정격차와 열악한 장애인복지 인프라와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에 대한 이해 차이로 인한 지역격차를 조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역장애인 복지인권 수준을 향상시키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매년 지역별 장애인복지 및 교육 수준을 점검·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 장애인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향상을 위한 노력이 확대돼야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지역 간 격차가 늘어났다. 다른 영역에 비해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개선 노력과 중앙정부의 지원 강화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 장애인단체지원이나 자립생활지원과 같이 당사자의 참여와 관련된 예산이 이전 조사에 비해 다소 증가했지만, 최상위와 최하위 지자체 간 격차는 상당히 컸다. 중앙정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