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액 전망에서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3개국이 해외인프라 시장 확대를 위한 핵심전략국으로 꼽히며, 올해 해외건설 수주액이 지난해보다 24% 증가한 350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와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최종구)은 23일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글로벌 인프라 신흥시장 전망 및 진출전략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최종구 수출입은행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 글로벌 해외건설 시장은 전년 대비 5% 이상 성장한 5,200억 달러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우리나라의 올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난해 대비 24% 증가한 350억달러를 기록하고 2018년 이후 해외건설 산업은 안정적인 성장궤도에 재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행장은 “국내기업들은 해외건설 수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동지역에 대한 리스크 분산을 위해 아시아 등 신흥시장 개척을 통한 지역다변화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최근 꾸준한 성장세로 주목받고 있는 철도·공항·항만 등 운송인프라를 중심으로 신흥시장 인프라 사업을 본격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미나에선 신흥시장 인프라 산업에 대한 전망과 진출 전략이
23일 서울시는 2017년 1분기 주택 전월세전환율이5.2%를 기록했다고 알렸다. 서울시에 따르면 1월부터 3월 사이 서울시내 반전세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2016년 4분기 대비 0.5%p 상승한 5.2%로 전년 동월 대비 1%p 하락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이율을 말한다. 서울시는 지난 2013년 3분기 이후 차치구별, 권역별(5개), 주택유형별, 전세보증금별로 전월세전환율을 공개하고 있다. 자치구별로는 금천구(6.5%), 동대문구(6.1%), 서대문구·성북구(6.0%)가 높게 나타났고, 강동구가 4.3%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종로·중구·용산 등 도심권과 서대문·마포·은평 등 서북권이 5.6%로 높게 나타났고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동남권이 4.7%로 가장 낮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서북권의 단독다가구가 6.6%로 최고수준을 보였고, 다세대·연립(4.5%)이최저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세보증금 수준이 1억 이하일 때 6.5%, 1억 초과 시 4.3%~4.6%로 연2%p를 더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억 이하 단독가구는 6.9%로 아파트보다 높은 이율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1분기
올해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에 설계 공모해 기능과 디자인을 특화한 공동주택 단지 등 총 1만3천세대가 공급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 이하 행복청)은 나성동(2-4생활권) 등을 비롯한 18개 필지에 총 1만3천세대의 공동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24일(화) 밝혔다. 특히 올해에는 지난해 주상복합 설계공모를 통해 디자인을 특화한 어진동(1-5생활권) 3개 단지 및 나성동(2-4생활권) 6개 단지와 생활권 전체를 연계한 해밀리(6-4생활권) 2개 단지가 주목받고 있다. 행복도시 중심에 입지한 어진동(1-5생활권) 및 나성동(2-4생활권)의 주상복합 단지는 탑상형·혼합형 등 다양한 설계 기법을 도입하고,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을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해밀리(6-4생활권) 공동주택 단지는 입체 보행로를 설치하여 공동주택과 학교·공원 등의 공공시설, 상업시설 등 생활권 전체 시설을 연계하였으며, 이로써 새로운 공동체 주거문화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시기적으로 행복도시 주택공급의 첫 관문을 여는 소담동(3-3생활권) H3·H4구역(블록)의 주상복합단지(3월 공급 예정)는 최고 48층 높이로 건설되어 도시의 대표
올해부터 서민·중산층의 주거안정 강화가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와 주택도시보증공사(사장 김선덕, 이하 HUG)는오는 2월일부터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가입절차 간소화, 보증범위 확대 등 제도개선 사항과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분양보증 등 6개 보증상품의 보증료율 인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이른바 ‘역전세난’이나 ‘깡통전세’로부터 임차인의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는 최선의 장치로, 보증료 부담을 완화하고 가입절차와 보증범위 등을 개선하여 임차인의 보증가입 확대를 유도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구체적인 보증료 인하 및 제도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증료 부담 경감부분에 대해서는 현행 개인 임차인 연 0.150%, 법인 임차인 0.227%의 요율 적용을 개인 0.128%(△14.6%), 법인 0.205%(△9.7%)로 인하하기로 했다. 임차인 구분 주택유형(비율) 현 행 개 선 비 고 개인 보증료율 아파트(92.2%) 연 0.150% 연 0.128% △14.6% 기타(7.6%) 연 0.154% 법인 보증료율 아파트(0.1%) 연 0.227% 연 0.205% △9.7% 기타(0.1%) 연 0.222% ※아파트 외 단독·다세대·연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한국을 강타하기 시작했다. 11일 국토부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시중금리와 국민주택채권 발행금리가 0.25%p 인상됨에 따라 디딤돌대출 금리도 16일부터 인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4년 1월 출시된 디딤돌대출은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저금리 상품으로, 그간 3차례 대출금리 인하를 거치며 연 2.1%에서 2.9% 수준으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국민주택채권 발행금리가 0.25% 상승했고, 이에 따라 디딤돌대출 금리도 자동적으로 인상 수순을 밟게됐다. 16일부터 적용되는 디딤돌대출의 금리인상은 두 갈래로 나뉠 예정이다. 소득 2천만원 이하의 경우 0.15%p, 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할 경우 0.25%p만큼 인상된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주택시장 위축 우려와 서민층 주거비 부담을 고려한 절차라고 설명했다. 이번 디딤돌대출 금리 인상은 기존에 대출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영향이 없고, 16일 이전에만 신청하면인상 전 금리를 적용받는다. 한편 미국 연방은행 관계자들 및 전문가들이 올 한해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3차례 정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차후 디딤돌대출 역시 인상 수순
4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2016년 12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에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4.22% 상승된 것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22% 상승했으나 2015년 상승률인 5.56% 대비 1.34%p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과거 10년간의 상승률을 살펴볼 때 2007년 3.57%상승 이후 2015년 5.56% 신장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연간 상승률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전국 평균은 1.50%, 수도권은 2.89%, 지방광역시는 0.65%씩 상승했으나 기타지방은 -0.67%를 기록했다. 가장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 서울의 경우 마포구(5.90%), 송파구(5.69%), 서초구(5.56%), 강남구(5.29%), 양천구(5.05%) 등에서 5%를 초과하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과천(5.22%), 파주(3.77%), 의왕(3.66%), 광명(3.59%) 에서 수도권 평균을 웃도는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지방지역에서도 특히 제주/서귀포 지역은 2015년 7.88% 상승한데 이어 2016년역시 10.18%가 오르며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부산 해운대구(7.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4.2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KB국민은행은 2016년 12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2015년 상승률인 5.56%보다 1.34%p 낮았으나, 2007년(3.57%)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마포구(5.90%), 송파구(5.69%), 서초구(5.56%), 강남구(5.29%), 양천구(5.05%) 등이 5%를 초과하는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1.50%로 분석됐다. 수도권 2.89%, 지방 5개 광역시 0.65%, 기타지방 –0.67%로 지방 5개 광역시와 기타지방에서 낮은 수준의 매매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과천(5.22%), 파주(3.77%), 의왕(3.66%), 광명(3.59%) 등이 수도권 평균을 웃도는 수준의 매매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지방지역에서는 제주·서귀포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10.18%)이 두드러졌다. 이같은 상승률은 2015년 7.88%보다 높은 것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다.이어 부산 해운대구 7.13%, 수영구 5.04% 등도 높은 상승률을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기준 외국인 보유 토지면적이 전 국토의 0.2%에 해당하는 2억3,223만㎡라고 23일 밝혔다. 금액으로는 32조2,608억원(공시지가 기준)이다. 외국국적의 교포가 국내 보유한 토지는 1억2,552만㎡(54.1%)로 전체 외국인 보유 토지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합작법인 7,511만㎡(32.3%), 순수외국법인 1,941만㎡(8.4%), 순수외국인 1,163만㎡(5.0%), 정부·단체 등 56만㎡(0.2%) 순이었다. 국적별로는 미국이 1억1,838만㎡(51.0%)로 가장 많았고, 유럽 2,134만㎡(9.2%), 일본 1,881만㎡(8.1%), 중국 1,685만㎡(7.2%), 기타 국가 5,685만㎡(24.5%)이다. 용도별로는 임야·농지 등 용지 비중이 1억4,192만㎡(61.1%), 공장용 6,329만㎡(27.3%), 레저용 1,250만㎡(5.4%), 주거용 1,048만(4.5%), 상업용 404만㎡(1.7%)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기 3,841만㎡(16.5%), 전남 3,804만㎡(16.4%), 경북 3,484만㎡(15.0%), 강원 2,340만㎡(10.1%), 제주 2,037만㎡(8.8%) 등이다.
2015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총 주택 1,636만 7천 호 중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414만 8천 호로 전년 대비 3.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이 중 단독으로 소유한 주택이 전체의 89.4%를 차지했으며, 2인 이상 공동 소유한 주택은 10.6%로 전년에 비해 0.8%p 오른 모습을 보였다. 개인 주택 소유 현황으로 주택을 소유한 개인은 1,304만 5천명으로 전년에 비해 39만 4천명이 증가했다.특히 주택 소유자 가운데 여성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41.4%였던 여성 주택 비중은 2015년 43.1%로 상승했다. 더불어 40~50대 중년층이 전체 주택 소유자의 51%를 차지했다. 일반가구 전체 1,911만 1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069만 9천 가구로 전체의 56.0%로 조사됐다.소유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수는 1.32호이며, 소유물건수 기준 주택을 2건 이상 소유한 가구는 25.5%로 나타났다. 공기가격 기준 주택자산 가액이 3억원을 초과하는 가구 비중은 19.5%였으며, 소유 가구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2억 1천 2백만원으로 확인됐다.특히 주택자산 가액별 상위 20%의 가구가 전체 소유 가구 주택자
앞으로 상가, 오피스텔 같은 상업, 업무용 부동산의 실거래가격도 공개된다. 국토부는현재 실거래가격을 공개중인 주택, 토지, 오피스텔, 분양권에서 대상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에부동산 거래신고 제도가 도입된 2006년 1월 이후 신고된 상업 업무용 부동산 매매거래 94만건이 공개된다. 공개항목은 소재지(동 리), 용도지역, 건축물 주용도, 거래층수, 거래금액, 거래일자(10일단위), 면적, 건축년도 등으로거래신고 다음날부터 열람이 가능하다. 실거래가 정보는15일 09시부터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홈페이지 (http://rt.molit.go.kr) 및 모바일 실거래가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상업·업무용 실거래자료 공개를 통해 서민· 소상공인 창업이나 상가투자 의사결정 등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달청(청장 정양호)이 이번주(5일~9일)에 법무부 수요 ‘전주지방검찰청 신축공사’ 등 총 69건 2591억원 상당의 공사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다. 이번주 집행되는 입찰은 인천광역시 종합건설본부 수요 ‘소래로 및 소래대교 확장공사(1단계)’등 집행건수의 약 87%(60건)가 지역제한 입찰 또는 지역의무 공동도급 대상공사로서 전체의 약 31%인 814억원 상당을 지역업체가 수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지역업체만 참여하는 지역제한 입찰 공사는 29건, 478억원 ▲지역업체와 의무적으로 공동수급체를 구성해 참여해야 하는 지역의무 공동도급공사는 31건, 837억원(이 중 336억원 상당을 지역업체가 공동수급체에 참여 전망) 상당이다. 지역별 발주량을 보면 경상북도 522억원, 전라북도 384억원, 서울특별시 320억원, 세종특별자치시 312억원, 그 밖의 지역이 1,053억원이다. 규모별 발주량을 보면 이번주 집행예정 공사 중 금액기준으로 약 14%(352억원)가 대형공사로서 ▲352억원 상당의 법무부 수요 ‘전주지방검찰청 신축공사’는 종합심사낙찰제 ▲대형공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적격심사(2,237억원)와 수의계약(2억원)으로 집행될 예정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전국에 공급된 신규 아파트가 100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재고 아파트의 10분의 1에 달하는 규모이다. 1일 부동산114 김은진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전국에 51만8,015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된 데 이어 올해는 45만4,960가구(12월 분양예정 물량 포함) 등 총 97만2,975가구가 공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11월 기준 전국 재고 아파트(948만2,809가구)의 10분의 1에 달하는 규모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27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된 것과 비교하면 80%가량 급증한 수치이다. 또한 시도별 재고 아파트 가구 수와 비교하면 경기(251만9,129가구)와 서울(159만2,774가구)을 제외한 15개 시도의 아파트 가구 수를 웃돈다. 부산(69만3,724가구) 내 전체 아파트의 1.4배에 달하고, 인천(56만5,493가구)과 대구(52만1,594가구) 아파트와는 2배 정도 차이가 난다. 이처럼 2년 사이 아파트 물량이 급증한 것은 분양시장 호조세가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 책임연구위원은 “올해의 경우 공급과잉 우려와 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시장이 위축되면서 당초 분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