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자 60%, 구직 중 사적인 약속 횟수 줄어

구직자의 60%는 구직활동 중에 사적인 약속 횟수가 줄었으며, 주로 만나는 사람은 함께 구직중인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구직자 7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0.5%가 ‘구직 활동 전보다 사적인 약속 횟수가 줄어들었다’고 답했다. ‘예전과 비슷하다’는 28.6%였으며 ‘약속 횟수가 늘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10.9%에 그쳤다.

 

약속 횟수가 줄어든 이유(복수응답) 53.4%가 ‘구직활동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이 있어서’를 꼽았다. ‘금전적인 부담이 생겨서’는 41.6%, ‘지인들에게 구직중인 자신을 보이기 싫어 스스로 피하기 때문에’ 40.7%였다. 이외에도 ‘본인의 구직활동만으로도 바빠서’ 22.4%, ‘먼저 취업한 친구에 대한 질투와 서로 다른 상황 때문에 화제가 맞지 않아서’ 19.0%, ‘친구들이 구직중인 자신을 피하는 것 같아서’ 13.4% 등이 있었다.

 

구직활동을 시작하면서 사적인 약속을 하는 주기도 변화를 보였다. 구직활동 전에는 ‘주 2~3회’가 42.7%로 가장 많았던 반면, 구직활동 시작 후에는 ‘월 2~3회’가 25.2% 1위를 차지했다. 또한 40.3%는 구직활동을 시작한 지 ‘4개월 ~ 6개월 미만’부터 사적인 약속을 줄이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2개월 ~ 4개월’ 22.4%, 6개월 ~ 12개월’ 11.0%, 12개월 ~ 1년 반’ 9.7%, 1개월’ 8.4%, 1년 반 ~ 2년’ 5.0%, 2년 이상’ 3.2%였다.

 

한편 ‘약속 횟수가 늘어났다’고 대답한 응답자 중 47.6%는 ‘약속 횟수가 늘어난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함께 구직활동 중인 친구들과 취업정보 교류를 하거나 서로를 위로 하기 위해서’ 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혼자 있으면 우울함이나 무기력증에 빠질까봐’ 31.0%, ‘취업에 성공한 친구를 만나면 배울 점이 많아서’ 25.0% 순으로 사적인 약속이 늘어도 그 이유는 취업에 관련된 이유가 많았다.

 

이 외에도 ‘구직활동 중이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많아서’ 23.8%, ‘본인 대신에 취업에 성공한 친구가 밥이나 술을 사줘서’ 21.4%, ‘구직활동 전과 지금의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아서’ 17.9% 등이 있었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적인 약속’에 대해 물어본 결과 ‘술자리’가 46.6%로 가장 많았다. ‘식사’ 25.1%, ‘운동 등 취미생활’ 13.5%, ‘영화나 뮤지컬관람 등 문화생활’ 11.3% 이었다.

 

구직활동 중에 사적으로 더 많이 만나는 사람에 대해서는 42.2%가 ‘함께 구직중인 사람’을 들었다. ‘둘 다 비슷하게 만난다’ 41.8%, ‘이미 취업한 사람’은 16.0%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