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이번 식목일에는 스마트폰으로 나무 심는다

산림청은 제 69회 식목일을 기념하여 나무심기에 대한 국민 참여를 높이고, 식목일의 중요성을 확산시키고자 '나에게 한그루 숲에게 한그루'를 주제로 모바일을 통한 '내 나무 갖기 범국민 캠페인'317~430일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모바일을 통한 '내 나무 갖기 범국민 캠페인'이란, 스마트 폰을 통해 접속한 온라인 공간에서 나무를 선택하고 키운 다음,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 나무를 심는 '가상 실천운동'을 말한다.

 

참여 방법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모바일 주소창에 캠페인 URL(http://m.forestevent.co.kr/2014tree.html)을 입력하고 캠페인 페이지에 접속하면 되는데 접속 시 온라인 나무심기가 가능한 나무는 살구나무·소나무 등 총 24개 수종으로 나무에 대한 자신만의 애칭도 정할 수 있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방식으로 나무를 키우고, 나무를 다 키운 후 지도검색 서비스로 원하는 지역을 찾아 나무를 심으면 캠페인 참여가 완료된다. 이 밖에도 캠페인 공유를 선택하면 SNS을 통해 다른 이들에게 '내 나무심기 범국민 캠페인'을 확산시킬 수 있다.

 

직접 나무수령을 원하는 캠페인 참여자들은 자신이 심은 나무의 애칭과 연락처를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접수하면 된다. 이번 캠페인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개시이후 일주일 동안 신청자 접수를 받아 무작위 추첨을 통해 신청자 200명에 한해 묘목과 묘종세트를 무료로 증정할 계획이다.

 

이번 '내 나무 갖기 범국민 캠페인'을 기획한 산림청 관계자는 "많은 국민들의 나무심기 참여를 위해 재미와 정보, 참여의 의미성을 강조한 '소셜 인포테인먼트형 캠페인'을 준비했다"고 밝히며, "많은 분들이 캠페인에 참여하여 식목일의 의미가 다시 새롭게 조명받게 되길 바란다"는 말을 덧 붙였다.

 

한편, 산림청은 327일 광화문 광장에서 오후 2시까지 4시까지 '국민과 함께 하는 내나무 갖기 한마당'을 개최, 15천그루의 묘목을 무료로 분양할 계획이다. 행사에는 유명 커피 브랜드인 주 커피(ZOO COFFEE)와 한국산림문화복지재단 등 5개 단체가 참여, 공동 캠페인을 벌인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교육 시행해 ‘보이스피싱’ 예방 나선다
최근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7000억 여원에 달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은행 직원이나 가족을 사칭한 뒤 송금을 유도하는 수법이 늘어나면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서울 성북구 장위순복음교회와 노인복지센터 청춘행복학교가 손잡고, 어르신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시니어 스마트폰 활용 단기 특강’을 개최한다. 교육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6회 과정으로 진행되며,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마련됐다. ◇보이스피싱 예방에 초점 맞춘 교육 이번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스마트폰 기능 익히기를 넘어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 예방’에 방점을 둔 것이다. 참가자들은 △비밀번호 관리 및 지문·얼굴 인식 보안 설정 △스팸전화 차단 기능 활용 △의심스러운 문자·앱 판별법 △안전한 모바일 결제 습관 등을 실습을 통해 직접 익히게 된다. 또한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부터, 실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