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국경을 넘는 콘텐츠 불법유통, ‘국제공조’로 잡는다

‘콘텐츠 불법유통 대응 국제공조 정책 세미나’ 국회서 열려

 

더불어민주당 김용민·모경종 의원실과 범창작협의체와 한국방송협회가 주최하고 한국디지털콘텐츠창작협의회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이 주관한 ‘콘텐츠 불법유통 대응 국제공조 정책 세미나' 국경을 넘는 콘텐츠 불법유통, 정부·기관·국제공조로 맞섭니다’가 14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K-콘텐츠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면에는 심각한 불법유통의 문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당면한 많은 과제를 면밀하게 살피고, 입법부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렸다.

 

김용민 의원은 서면 개회사에서 “콘텐츠 불법유통의 문제는 미국과 일본 등 세계적으로도 소수의 국가만 겪고 있는 문제라, 국제적으로도 성공적인 대응 경험이 많지 않다”며 “K-컬쳐가 급성장하면서 생긴 새로운 시대의 과제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이고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재명 대통령께서는 후보시절 콘텐츠 불법유통 근절을 위한 국제공조를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를 위해서 수많은 행정부처와 국회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이 자리는 콘텐츠 불법유통 대응을 위한 부처 간 정책 협력과 국제공조 방안을모색하고, 실효성 있는 해결 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저 역시 법사위의위원으로서 당면한 많은 과제를 면밀하게 살피고, 입법부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모경종 의원은 서면 개회사를 통해 “오늘 우리가 마주한 ‘콘텐츠 불법유통’ 문제는 더 이상 문화산업에 국한된 사안이 아니다”라며 “국경을 넘어 거대한 ‘국제범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창작자들이 피땀흘려 만든 K-콘텐츠가 불법 도박과 성매매 등 다른 범죄 산업의 홍보 도구로 이용되는 현실에, 창작자분들이 느끼실 모멸감과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오늘 이 토론회가 바로 그 첫걸음, 의미 있는 초석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저 또한 오늘 논의되는 고견들을 하나하나 꼼꼼히 검토하여, 국회에서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실질적인 입법과 정책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토론의 발제에는 이원상 조선대학교 법학과 교수, 조형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정범석 경찰청 국제공조정책계장 경정, 이근우 가천대학교 법학과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보호과 한승호 국제공조팀장이 나섰다.

 

이어서 윤여길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보좌관, 안상필 MBC 법무팀 차장, 박광철 만화가•만화평론가, 유창서 전)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위원, 김 신 한국웹툰협회 회장, 박수호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사업국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쿠팡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 시행 홍보했지만 ‘주7일 야간배송’ 강요
쿠팡이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을 시행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주6일, 주7일 강제노동이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쿠팡 대리점들이 회사 아이디를 이용해 심야노동시간 및 노동자 휴일이 없는 사실을 은폐하고 주7일 야간 배송까지 종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쿠팡 대리점 올리브로지스틱스에서 일하던 A씨는 지난 7월 27일부터 엿새간 야간배송을 마친 뒤(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는 본인 아이디, 8월 1일은 회사 아이디로 근무), 하루 쉬는 날이던 8월 2일, 회사로부터 다시 근무 지시를 받았다. 배송 업무 어플 접속 아이디를 다르게 해 시스템상 주5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한 것처럼 만들어 마치 택배기사가 하루를 더 쉬려고 한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A씨가 이를 거부하자 회사는 '대체 인력 투입 비용'이라며 용차비 70만 원을 청구했다. 만약 A씨가 그날 지시에 따랐다면, 해당 주간에 7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 다음 주 휴무일(토요일)까지 총 13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셈이었다. 특히, 5일은 노동자 본인 아이디로 배송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하루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