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4 (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국내


노인 기초생활수급 5년새 60% 증가, 노인 자살 2023년 5천명

김도읍, 노인의날 맞아 ‘노인빈곤예방법’ 대표발의
노인 자살 2014년 4,423명 → 2023년 5,098명 10년 새 15.3% 증가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 빈곤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노인 빈곤 문제를 해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이른바 ‘노인빈곤예방법’이 국회에서 발의돼 귀추가 주목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도읍 의원(국민의힘 부산 강서구)은 10월 2일 제28회 노인의 날을 맞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노인 빈곤 퇴치와 예방 및 지원을 위한 「노인의 빈곤예방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OECD 국가 평균 노인 빈곤율은 15% 가량인 반면 우리나라는 2.5배 이상인 40%에 육박하고 있다. 최소 생활비를 확보하지 못하는 노인이 그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 같은 현상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도읍 의원이 ‘한국사회보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9~2023년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가 전체 기초생활수급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2019년 60대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는 833,198명(44.28%)에서 ▲2020년 956,970명(44.84%) ▲2021년 1,117,312명(47.35%) ▲2022년 1,215,970명(49.60%) ▲2023년 1,307,449명(51.17%)으로 5년 새 60%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2023년) 기준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0대 이상 기초생활수급자가 242,911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서울 230,568명 ▲부산 129,481명 ▲경상남도 87,753명 ▲인천 84,034명 ▲경상북도 80,137명 ▲대구 76,82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더욱 심각한 것은 노년층들이 삶의 비관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자살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도읍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2023년 자살사망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60대 이상의 자살자는 46,748명으로 전체(133,596명)의 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2023년) 60대 이상 노인들의 자살은 5,098명으로 최근 10년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2014년 4,423명에서 이후 2022년까지 4천여명의 수준으로 증감을 반복하다가 지난해 5천 명(5,098명)을 돌파해 10년 새 15.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초고령사회 대응 및 노년층 빈곤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인 일자리 지원을 비롯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노인 돌봄 관련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노년층의 빈곤 문제는 더욱 심화되어 또다른 사회적 문제를 양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김도읍 의원은 빈곤노인의 사회·경제·보건·복지·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소외와 차별을 받지 않고 한 사회의 구성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기반을 위해 노인빈곤예방법을 마련했다. 

노인빈곤예방법의 주요내용으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노인 빈곤 문제를 해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책무를 명확하게 부여하고 실태조사를 비롯해 기본계획수립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노인빈곤 문제를 다루도록 했다. 

 

또한, 노인빈곤예방위원회를 설치해 노인빈곤 예방 및 지원사업 실시, 노인빈곤예방전담 기관 설치 및 운영 등의 근거를 마련해 난립해 있는 노인 관련 복지사업들을 체계를 갖추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제적으로 관리 및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강화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어 내년에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노인 빈곤 문제가 갈수록 심화되어 마음이 매우 무겁다”며 “노인 빈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촘촘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초고령사회를 맞이하면 경제적·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초래될 것이 자명하므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노인빈곤예방법이 국가적으로 오랫동안 해소되지 못한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가 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등으로부터 고립되어 어려움에 처해있는 어르신들에게 도움과 희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내란 특검, 尹 체포영장 청구...특수공무집행방해죄 등 혐의
‘12·3 비상계엄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가 2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으로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조은석 특검은 이날 언론공지를 통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해 특수공무집행방해죄 등으로 체포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조 특검은 체포영장 청구 이유로 윤 전 대통령이 경찰의 3차례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소환에도 불응할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3일 사건을 인계받은 특검은 사건의 연속성을 고려해 피의자 조사를 위해 체포영장을 청구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경호처에 자신에 대한 체포 저지를 지시한 혐의도 받는다. 계엄 나흘 뒤인 작년 12월 7일 경호처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의 비화폰 관련 정보 삭제를 지시한 혐의(경호처법상 직권남용 교사)도 있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 특별수사단은 윤 전 대통령에 이달 5일과 12일, 19일 세 차례에 걸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응하지 않았다. 경찰은 지난 5일 1차 출석요구를 거부한 윤 전 대통령에게 12일에 이어 19일 세 차례 피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