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6℃
  • 구름많음강릉 7.5℃
  • 구름많음서울 4.2℃
  • 맑음대전 3.3℃
  • 흐림대구 8.0℃
  • 구름많음울산 7.2℃
  • 맑음광주 6.0℃
  • 흐림부산 8.2℃
  • 구름조금고창 5.3℃
  • 구름많음제주 11.9℃
  • 구름많음강화 3.5℃
  • 흐림보은 1.0℃
  • 구름조금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6.6℃
  • 흐림경주시 8.1℃
  • 구름많음거제 9.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메뉴

경제


최근 3년간 전기차 리콜 14배 급증 - BMW 25회, 테슬라 19회, 메르세데스벤츠 18회 리콜

- 전기차 리콜 건수 ▲‘20년 8건 ▲‘21년 53건 ▲‘22년 118건, ‘23년도 8월까지만 벌써 64건 진행
- 김병욱 “소비자 안심 및 전기차 국내 정착 위해 전방위적인 관리 필요해”

최근 3년간 전기차 리콜 건수가 14배 이상 크게 늘어났다. 무상수리 건수 또한 6배 이상 늘었다. 가장 많이 리콜된 제작사는 BMW코리아(이하 ‘코리아’ 생략)로, 3개 모델(iX xDrive50, i7 xDrive60, iX3 M Sport)에 걸쳐 총 25번 리콜이 진행됐다.

 

특히 가장 많이 리콜된 상위 10개 모델 중 9개 모델이 수입 전기차 제품으로, 이에 대한 결함조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국회의원(분당을)이 지난 6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기차 리콜 현황’자료에 따르면, ‘20년 8건이었던 전기차 리콜 건수가 ‘21년 53건, ‘22년 118건으로 3년 사이 14배 급증했다. 금년 8월까지는 64건의 전기차 리콜이 진행되었다.

 

2020년부터 리콜 상위 10개 모델 중 9개가 수입 전기차 제품이다. 가장 많이 리콜된 제품의 제작사는 BMW로 총 25회 리콜됐으며, 테슬라 제품이 19회, 메르세데스벤츠는 18회 리콜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별로 보면, 테슬라의 Model3이 12건으로 가장 많은 리콜 건수를 기록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EQS 450+가 11건, BMW의 iX xDrive50와 한국지엠의 볼트 EV가 각각 10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i7 xDrive60(BMW)이 8건, EQS 450 4MATIC(메르세데스벤츠), iX3 M Sport(BMW), ID.4(아우디폭스바겐), ModelY(테슬라), 타이칸(포르쉐)가 각각 7건으로 리콜 상위 10개 모델 안에 들었다.

 

 

전기차 무상수리 실시 건수 역시 ‘20년 15건, ‘21년 64건, ‘22년 96건으로 3년간 6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 실시된 무상수리 또한 95건에 달한다.

 

리콜은 특정 차에 안전과 직결된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제조사가 시정(부품의 수리·교환 등)을 통해 책임지는 방식이다. 별도의 수리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대상 차종이 모두 수리받을 때까지 진행한다. 반면, 무상수리는 구입 시기 또는 주행거리가 얼마 되지 않은 차에 한해 진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병욱 의원은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으나 제품의 안정성 부분에서 많은 소비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라며 “수요와 판매가 증가하면서 리콜 건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더라도, 리콜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상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우려는 식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 의원은 “전기차가 국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려면 우선 자동차로서의 기능 및 안전이라는 기본적인 측면에서 국민에게 안심을 주어야 한다”며 “특히 수입 전기차에 대한 리콜 건수가 두드러지는 만큼, 전기차 안전 강화를 위해 제작·판매과정에서부터 결함조사 및 신고서비스 운영 등 전방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넥슨 ‘메이플 아지트’, 스페셜 오픈 수익금 1억원 이용자 이름 기부
넥슨(NEXON)은 ‘메이플스토리’ IP 테마 상설 PC방 ‘메이플 아지트(MAPLE AGIT)’의 ‘스페셜 오픈’ 이벤트 수익금 1억원을 서울대학교병원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도토리하우스(이하 도토리하우스)에 이용자 이름으로 기부했다.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2일까지 총 16일 동안 진행한 스페셜 오픈은 ‘메이플 아지트’ 정식 오픈을 기념해 21인의 크리에이터가 아르바이트생이 되어 PC방 현장에서 이용자와 소통한 이벤트다. 사전 예약 후 현장을 찾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채로운 즐길거리를 선보였으며 합동 라이브 방송으로 온라인 이용자와 함께 소통했다. 앞서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이용자 모두를 위한 축제라는 ‘스페셜 오픈’ 이벤트 의의를 기념해 이벤트 기간 발생한 수익금을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후 티켓 및 식음료 판매금, 합동 라이브 방송 누적 조회수 그리고 넥슨의 지원금을 더해 총 1억원의 기부금을 산정했으며 이를 ‘도토리하우스’에 ‘메이플스토리’ 이용자의 이름으로 기부했다. 넥슨재단, 보건복지부, 서울대병원의 협력으로 조성한 ‘도토리하우스’는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중증 소아 환자와 가족들에게 종합적인 의료 및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