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경제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23.7%... 대선용 정책금융 상품이라서 높다고요?

- “문재인 정부의 총선용 상품, 중도해지 급증은 예견된 일”
-"고금리, 고물가로 청년들의 팍팍한 삶을 반영한 것"

2022년 2월 문재인 정부 당시 청년들을 위해 도입한 고금리 금융상품인 「청년희망적금」이 현재 중도해지가 늘어나고 있다.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중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등 저소득 청년을 상대로 도입한 2년 만기의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당시 기본이율 5%(은행별 우대금리 적용 시 최고 6%)에 세제해택까지 포함, 환산하면 연 10%에 달해 일부 은행 앱이 마비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주는 등 이유로 중도해지자가 늘어나고 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진주을)이 금융감독원에 요청해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상품이 출시된 2022년 2월 최초 가입자 수는 289만 5,546명이었으나 2023년 5월말 현재 중도해지자 수는 68만 4,878명으로 중도해지율이 23.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희망적금」 상품의 중도해지율을 시기 순으로 살펴보면, 2022년 6월 6.7%(19만 5,290명)⇨2022년 9월 11.4%(32만 9,547명) ⇨2022년 12월 16.6%(48만 2,018명) ⇨2023년 3월 21.1%(61만 1,1005명) ⇨2023년 5월 23.7%(68만 4,878명)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납입 금액대별 중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①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가입 19만 2,750명/해지 9만 4,806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②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이 48.1%(가입 10만 1,003명/해지 9만 3,725명), ③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가입 18만 7,938명/해지 8만 2,453명) ④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로 월 납입액 40만원 미만 가입자의 중도해지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 월 40만원 이상 고액 가입자 중 ⑤40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은 14.8%, ⑥50만원 이상~60만원 미만은 14.8%로 상대적으로 해지율이 낮은 편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준 20·30 세대는 중도해지자가 급증했지만 월 40 ~ 50만원을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강민국 의원은 “「청년희망적금」상품은 문재인 정부가 대선을 1달 앞두고 출시하여 태생부터 청소년 표심을 겨냥한 대선용 정책금융 상품이었기에 중도해지율 급증은 예견된 일이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강 의원은 “가입자 예상 실패와 가입 자격 형평성 논란 등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정한 무리한 정책금융상품을 설계한 문재인 정부 당시 금융위원회와 기확재정부에도 그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대선 기간과 정부 출범 후 1년 이상 분석하고 출시한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전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의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하여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