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올해 이직 계획한 직장인 42% ‘상반기 이직 성공’

이직 후 연봉 ‘평균 370만원’ 올라

 

올해 이직을 계획한 직장인 10명 중 4명이 ‘상반기에 이직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올해 이직을 계획한 직장인 645명의 이직 성공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2.0%가 ‘상반기에 이직에 성공했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직으로 인상된 연봉은 전체 응답자 ‘평균 37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장인들이 이직으로 기대하는 희망 연봉인상액 509만원(*)의 72.7%에 그치는 수준으로 그리 높지는 않는 것으로 풀이됐다.

 

상반기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의 직무별 연봉인상액은 ‘연구개발직’ 직장인이 가장 높았다.

 

조사결과 ‘연구개발직’ 직장인의 연봉이 평균 500만원 인상되어 인상폭이 가장 컸고, 이어 프로그래밍이나 시스템운영 등의 ‘IT개발직’ 직장인의 연봉이 평균 450만원 인상돼 다음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기획/인사’ 직무 직장인의 연봉이 평균 411만원 인상됐고, ‘전문/특수직’이 평균 407만원, ‘마케팅직’이 평균 372만원 인상되어 이직으로 연봉이 인상된 직무 top5에 들었다.

 

기업별로는 ‘스타트업’으로 이직한 직장인의 연봉이 평균 600만원 인상돼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대기업(평균 394만원) 중소기업(평균 357만원) 중견기업(평균 341만원)으로 이직한 직장인 순으로 연봉이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들의 ‘이직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이직한 기업에 대한 만족도를 5점척도로 조사한 결과 ‘보통’이라 답한 직장인이 36.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체로 만족한다(29.9%)’는 직장인이 많았으나, ‘대체로 불만족한다(17.3%)’는 응답자도 17.3%로 뒤이어 많았다.

 

이들 직장인들은 이직으로 가장 만족하는 요인과 불만족하는 요인 모두 ‘연봉수준’이라 답했다. ‘이직으로 가장 만족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연봉수준’이라 답한 직장인이 33.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쾌적한 근무환경(25.5%)’, ‘기업문화/분위기(23.6%)’, ‘업무특징(20.3%)’ 순으로 만족한다는 답변이 높았다.

 

반면 ‘이직으로 가장 불만족하는 요인’도 ‘연봉수준’이라 답한 직장인이 3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인들은 ‘복지제도(24.0%)’, ‘기업문화/분위기(22.9%)’, ‘기업의 성장 전망(22.1%)’, ‘직장상사(21.4%)’ 순으로 불만족한다는 답변이 높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