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3.0℃
  • 맑음서울 22.2℃
  • 맑음대전 23.7℃
  • 맑음대구 25.5℃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20.2℃
  • 맑음제주 20.7℃
  • 맑음강화 17.0℃
  • 맑음보은 22.6℃
  • 맑음금산 22.2℃
  • 맑음강진군 23.4℃
  • 맑음경주시 20.5℃
  • 맑음거제 19.3℃
기상청 제공

문화


서울·경기, 문화콘텐츠산업 전체 매출의 85% 차지…양극화 심각

전체 매출 113조원 중 서울·경기 95조원…종사자 70%·사업체 52% 서울·경기에

서울·경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문화콘텐츠 산업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음악, 영화, 방송, 광고, 만화,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전국 매출액에서 서울과 경기도가 약 85%를 차지했고, 콘텐츠 사업체 60% 이상이 서울과 경기도에 집중돼 있었다.

 

또한 업계 종사자도 서울에 절반 이상, 경기도에 20% 이상 집중돼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2017년 콘텐츠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2013~2017년 콘텐츠 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에 따르면 2017년도 전국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도 대비 6.7% 증가한 113조2,165억원이었다.

 

지역별로 서울이 72조4,000억원으로 전국 매출의 64%를 차지했고, 경기도가 23조6,000억원으로 20.9%를 차지하는 등 서울·경기에서만 전체 매출의 85%가 발생했다.

 

반면, 전남은 전체 매출의 0.4%로 최하위였고, 강원 0.5%, 충북과 충남도는 각각 0.8%에 머무는 등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은 미미했다.

 

 

김 의원은 서울·경기와 그외 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 차이가 큰 것은 사업체가 서울·경기에 몰려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문체부와 콘진원의 ‘문화콘텐츠 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을 보면 서울에는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 솔루션 등 콘텐츠 사업체 수가 3만4,440개로, 전체의 32.7%가 집중돼 있었고, 경기도는 2만307개로 19.3%를 차지했다.

 

그러나 제주도에 소재한 콘텐츠 사업체 수는 전국에서 가장 적은 1,045개로 전체의 1%를 차지했고, 전북과 전남이 각각 2.8%와 2.5%, 충북과 충남이 2.7%와 3%를 차지했다.

 

 

콘텐츠 사업체가 서울과 경기에 집중된 만큼 종사자들도 서울·경기에 몰려있었다.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에 따르면 콘텐츠 사업체 종사자는 31만4,000명으로 전체의 51.4%를 차지했고, 경기도에 12만5,000명(20.6%)이 근무 중이었다.

 

하지만 제주도에는 4,439명(0.7%)이, 전남 6,608명(1.1%), 충북 8,333명(1.4%)이 콘텐츠산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김 의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나라 먹거리 산업 분야가 문화콘텐츠인데, 서울과 경기도에만 과도하게 집중돼 있어 지방과의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해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