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19일 “SKT 해킹 사태, 무능·무책임 윤석열 정부의 민낯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황정아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민주당 중앙당사 2층 브리핑룸에서 “SKT 민관합동조사단 2차 조사 결과, SKT의 정보 보안관리 부실과 이를 방치해온 윤석열 정권의 무능·무책임이 밝혀졌다”고 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SKT는 해킹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정보가 연동된 서버까지 공격받은 것으로 드러났다”며 “1차 조사에서 ‘유출은 없었다’고 호언장담하던 단말기 식별정보(IMEI)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악성코드 최초 설치 시점인 2022년부터 최근 사고 발견까지 거의 3년의 시간 동안 윤석열 정부는 무엇을 했는지도 의문”이라면서 “무책임·무능 정권 아래 통신사의 보안 관리는 더욱 허술해지고 국가통신 인프라에 뚫린 보안 구멍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늘날 통신 인프라는 국민의 삶과 국가 안보를 지탱하는 필수 기반이다. 정부와 SKT는 신속한 사고 수습과 재발방지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라”면서 “피해를 입은 이용자와 유통망에 대해 보상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국회의원들도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태의 총괄 책임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책임한 대응은 심각한 직무유기이며, 유상임 과기부 장관은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600만 명이 넘는 국민의 통신유심정보가 유출된 초유의 사태에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고 넘어가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나마 2차 금융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이 다행”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번 사태로 인한 국민적 불 편과 피해에 대해 적절한 보상(배상)조치를 마련하는 것은 물론, 과징금과 처벌 등 법적 제도적 책임 또한 국민을 대신해 끝까지 확실히 묻겠다“며 ”재발방지책과 대안도 확실히 챙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