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등에서 수입되는 반도체 칩에 대해 다음 주 중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혀, 글로벌 반도체 산업과 공급망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 웨스트 팜비치 자택에서 워싱턴DC로 귀환하는 전용기(에어포스 원) 안에서 기자들에게 "반도체와 다른 기술 제품들을 미국에서 생산하기 원한다"며 “이번 주에 관련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유연한 적용 가능성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별도로 반도체 산업과 전자제품 공급망 전반에 대한 국가안보 무역조사 개시도 발표했다. 그는 SNS를 통해 "반도체 및 전체 전자제품 공급망에 대한 국가안보 차원의 관세 조사를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조치는 지난주 중국 수입품에 대한 고관세 조치를 발표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사실상 중국을 정조준한 압박 카드로 풀이된다. 중국 역시 지난 금요일 보복 조치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고 125%의 관세를 부과하며 맞불을 놓은 상태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물론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의 창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로이터에 "이 문제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미국은 경기 침체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백악관은 현재 한국, 일본, 유럽연합 등 7개국과의 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은 협상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직접 대화 계획도 현재로서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관세조치가 계속 번복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대응책 마련이 어렵다는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정책이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서 미리 무언가를 준비하는 건 불가능하다.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말밖에 할 수 없을 것 같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