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


트럼프,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부과'

加·멕에 25% 관세 강행 방침…자동차·반도체·상호 관세 줄줄이 예고

 

 

 

미국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글로벌 관세 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중국에 대한 관세를 2배로 올렸을 뿐만 아니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동맹국에도 추가 유예 없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부터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20%로 올리고 멕시코 및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3일 밝혔다.

 

그는 이날 중국의 관세를 기존 10%에서 20%로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중국에 대한 추가 조치는 확정했다.

 

그는 대(對)중국 추가 관세 부과의 이유로 행정명령에서 "중국은 불법 마약 위기를 줄이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TSMC의 대미 투자 발표 행사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협상) 여지가 없다"면서 "모든 준비가 끝났으며 내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의 3대 통상 파트너 국가인 캐나다, 멕시코, 중국의 제품에 전면적 관세가 모두 부과되게 됐다. 이들 3개국은 2022년 기준의 미국 전체 수입 제품(가치)의 45%(3조 달러)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 시 그 금액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면서 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경고도 미국 내에서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및 트럼프 대통령 측 인사들은 관세 조치에 확신을 갖고 대응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관세는 쉽고 빠르고 효율적이며 공정함을 만든다"라면서 "미국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에게 매우 큰 비용이 될 것이다. 그들은 미국에 와서 돈이나 일자리를 도둑질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응해 중국, 캐나다, 멕시코는 물론 유럽연합(EU) 등도 자국의 통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보복 조치에 나설 예정이거나 그런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보복 조치에 대한 맞대응 방침을 밝혔기 때문에 관세를 둘러싼 미국과 주요 국가간 물고 물리는 통상 전쟁이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이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 이어 다른 나라로의 확전으로 글로벌 관세전쟁이 벌어질 경우 무역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은 대미 수출은 물론 다른 나라의 수출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김건희, 檢에 제출한 '불출석 사유'가 기가 막혀
파면 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씨가 검찰에 오는 14일 소환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씨 측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씨 측이 제출한 사유서에는 "특정 정당의 공천 개입 의혹에 관한 조사가 강행되면 추측성 보도가 양산돼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김 씨에게 오는 14일 검찰청사로 나와 정치자금법 및 공직선거법 위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으라는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한편, 일각에서는 '명태균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 김건희 소환조사 통보는 일종의 쇼이자 꼼수라는 지적이 있다. 이미 윤석열·김건희 부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의지가 없다는 것은 '명태균 게이트' 관련 공천개입 의혹 수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특히 여전히 심우정 검찰총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지휘부가 윤석열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김건희 강제구인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고 보고 있다. 결국 김건희 수사는 검찰이 아닌 특검을 통해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특검을 통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