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


청정 수소사회로 전환 "연료전지 기술경쟁력 확보가 중요"

국내 수소 생산 및 활용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공기업과 민간 등이 수소 생산 투자와 계획을 발표하고는 있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21일 국회에서는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이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한무경 의원(국민의힘)은 “수소 산업을 육성하려면 무엇보다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수소 산업 육성과 연구개발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정운천 의원(국민의힘)은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에너지 자원 안보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며 “최근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를 통해 수소 생산에 파격적인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프랑스는 수소를 수입하지 않기 위해서 국내 수요 전량을 자체 생산하겠다며 수소 자립을 선언했다"면서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글로벌 경쟁 시장에서 신성장 에너지 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시켜야 한다”고 힘을 실었다.

 

 

권명호 의원(국민의힘)은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수소법이 제정됨에 따라 청정수소 중심의 생산‧유통‧활용의 전주기에 걸친 생태계 구축이 마련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는 ‘세계 1등 수소산업 달성’을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안정적으로 청정 수소 생산‧공급 기반 마련과 ‘세계 수소 산업 시장을 선도하는 초격차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강조했다.

 

구자근 의원(국민의힘)은 ”미국의 경제학자 제레미리프킨은 그의 저서 수소 혁명을 통해 이제 수소 에너지가 기존의 경제‧정치‧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면서 ”이를 증명하듯 각국은 수소 경제, 수소 사회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할한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우리 정부와 국회도 수소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조홍종 교수(단국대 경제학과)는 ⌜청정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수소 활용 부분 정책 방향성 제언」이라는 발제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에 핵심 엔진 역할을 하는 연료전지 기술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이어 “대규모 연료전지 보급을 통해 연료전지의 생산/설비단가 하락을 유도하고, 원천기술 개발 기반의 경쟁력 있는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는 수소 경제 초기 정부가 제시한 22년 수소 모빌리티 전환 목표 대비 현재 37% 수준으로 보급률이 매우 저조한 반면에, 중국은 명확한 보급 정책으로 대규모 버스/트럭 중심 수소 모빌리티 전환계획(19‘전국인민대표대회)을 세워 세계 수소 상용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청정 수소 경제로의 전환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가장 핵심적인 수소 발전 대규모 수소 수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양병내 전문위원(국민의힘 산업정책 수석전문위원)이 「수소 새 정부의 미래 신산업 청정 수소새대의 개막」을, 문상진 상무(두산퓨엘셀 R&D/신사업본부장)는 「발전용 활용서 마련의 민간 애로사항」, 신승규 상무(현대자동차 수소경제TF팀)와 이창호 교수(가천대)는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김선기 국장(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수소 경제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