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서울시 주택정책에 건설업계는 속앓이 한다

최근 서울시의 뉴타운 정비・해제, 재건축 소형비율 확대방침 등 주택정책 전환에 대해 건설업계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사업차질과 타격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매출액 상위 10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서울시 주택정책이 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세입자보호와 공공성을 강조하는 정책방향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옳거나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라고 응답한 기업이 87%에 달했다.

전반적으로 옳지 않다는 의견은 13%였다. 뉴타운 옥석가리기에 대해서도 54%가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응답했으며 불필요한 조치라는 의견도 46%나 됐다.

피해를 걱정하는 의견도 많았는데 응답기업 59%는 ‘서울시의 주택정책 변화로 사업추진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이미 ‘금전적 손실이나 사업차질이 발생했다’는 업체도 5%로 나타났다.

‘별 영향 없다’는 업체는 36%였다. 예상되는 피해액으로는 ‘50억 원 미만’ 29.7%(19개사), ‘50~100억 원’ 23.4%(15개사), ‘100~500억 원’ 10.9%(7개사) 순으로 조사됐다. <‘500~1000억 원’ 7.8%(5개사), ‘1000억 원 초과’ 3.1%(2개사), ‘추정할 수 없음’ 25.1%(16개사)> 피해액 처리방침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78%가 ‘조합이나 시행사에 손해배상 청구할 것’이라고 답변해 손실 분담을 놓고 주민 불만과 갈등, 법정소송이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서울시 주택정책이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계속될 경우 ‘뉴타운과 재건축에 악영향을 미칠 것’ 36%, ’부동산시장 전반에 타격을 줄 것‘ 43%로 예상했다. ’일시적 충격에 그칠 것’ 21%, 그로 인해 ‘건설경기 침체 가속화’ 49%, ‘주택공급 축소’31%, ‘정비사업 중단으로 도시슬럼화’19% 등의 부작용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서울시 주택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정책기조의 급격한 변화’가 34%, ‘실효성 있는 대안부재’ 32%, ‘현실 고려 부족’27% 등을 차례로 꼽았다. ’중앙정부와의 정책혼선’도 7%였다. 재건축 소형비율 확대정책에 대해서는 ‘서민 주거안정에 도움이 되기’ 45%보다 ‘전세 물량감소와 가격상승 효과가 더 클 것’ 55%로 평가했다. 서울시가 주택정책에서 역점을 둘 과제로는 ‘규제완화’ 61%를 가장 많이 주문했고, ‘부동산 세제 완화’ 16%, ‘기부채납, 개발 부담금 완화’ 15%, ‘자금지원 강화’ 8%, 도심 내 주택공급에 중요한 재건축, 뉴타운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인・허가기간 단축’38%, ‘용적률 상향’ 28%, ‘세입자 대책비용 지원 강화’ 17%, ‘기반시설 설치지원’ 14%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2월 27일~3월 2일까지 매출액 상위 100대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전화 및 팩스로 실시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