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자 27%, 취업난에 울고 취업사기에 또 울어

구직희망자를 노린 취업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실제로 구직자의 27.2%가 취업사기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구직자 544명을 대상으로 ‘취업사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직자의 27.2%가 올 하반기 구직활동 중 허위과장공고, 금품요구 등 취업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했다.  

피해를 입은 취업사기의 종류로는 ‘고용조건의 허위 및 과장’이 37.3%로 가장 많았고, ‘다단계 유입’(19.5%), ‘학원수강 및 교육 등의 취업조건 제시’(15%), ‘영업강요’(10.9%), ‘교재비 등 금품요구’(8.6%) 등의 순이었다. ‘성추행’ 피해를 입었다는 구직자 역시 6.4%나 됐다. 

취업사기를 겪은 구직자들은 그 피해로 ‘사회에 대한 불신’(29.1%)이 생겼다고 응답했고, ‘구직활동에 대한 사기저하’를 경험했다는 구직자가 27%, ‘자기비하’ 20.3%, ‘금전적 피해’(17.6%)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취업사기에 대한 대응으로는 ‘무시했다’가 66.9%를 차지해 ‘해당 회사에 항의했다’ 15.5%, ‘고용노동부 신고센터에 신고했다’ 11.5%에 비해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내 취업사기 예방과 대응에 대한 인식변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의 김진영 홍보팀장은 “대부분의 인터넷 취업사이트들이 불량 채용공고에 대한 단속을 펼치고 있지만 구직자 스스로도 구인기업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허위과장 구인광고로 피해를 입었다면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관련 기관과 주변에 알려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청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희 기자 leehee@m-economynews.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