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원가회수율=원가이익회수율

전경련 '산업용 전기요금에 관한 오해와 이해' 자료집 배포

전경련은 18일 전기요금 산정과 한전 적자의 근거로 내세우는 ''원가회수율''이라는 용어 대신 ''원가이익회수율''이라고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전이 말하는 총괄원가는 일반 기업에서 쓰는 원가에 더해 적정투자보수, 법인세 비용 등 일정 이익까지 포함돼 있다는 지적이다. 한전의 총괄원가에서 적정투자보수와 법인세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6년간 8.0∼16.7%였다.

전경련은 이런 점을 감안하면 한전은 원가회수율이 약 90% 이상이면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원가회수율이 90%를 웃돈 2006∼2007년과 2009∼2010년 한전의 영업이익률은 5∼12%에 달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각각 6천210억 원, 4천669억 원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한전의 원가회수율이 100%가 안 되면 적자를 보고 전기 사용자들이 마치 원가 이하의 요금으로 혜택을 보는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경련은 산업용 전기요금의 원가이익회수율이 2011년 말 94.4%에서 올 1월 현재 100%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전경련은 이에 따라 전력수요의 안정적 관리방안으로 원가이익회수율에 기반을 둔 전기요금 조정안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교육용·주택용·일반용 등 용도별 원가이익회수율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주장했다.

전경련은 ''산업용 전기요금에 관한 오해와 이해'' 자료집을 주요 기관에 배포하고 홈페이지에도 게재키로 했다.

송현아 기자 sha72@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