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북한주민의 자유와 인권 위한 ‘북한인권법’ 제정 촉구 포럼 열려

10년째 계류 중인 북한인권법의 실효성 필요성 제시



북한주민인권법이 국회에서 10년째 계류되면서 북한주민의 인권을 위한 법 제정의 실효성과 필요성을 주장한 포럼이 열렸다.


북한주민의 자유와 인권을 위한 ‘북한인권법’ 통과를 위한 북한인권법 제정 촉구 포럼이 북한인권법 통과를 위한 모임(Now! Act for Northe Koreans!) NANK(대표 인지연) 주최로 15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김태훈 대표(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이인제 새누리당 국회의원, 원재천 한동대 교수, 제성호 중앙대 법과대학 교수, 한희원 동국대 법과대학 교수 , 정학진 변호사 등이 참여해 북한인권법 제정을 촉구했다. 또한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 오경섭 세종연구소 박사 등은 현행 법제도 하에서 북한주민의 인권을 위해 할 수 있는 것부터 실행해야 할 것을 강조했다.

김태훈 대표는 “많은 미국 유대인들도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를 나치의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같은 인권 유린의 장소로 인식하고 있다”며 “미국 일본에서는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정작 우리나라는 북한인권법의 제정을 10년째 미루고 있어 부끄럽다”고 말했다.

이인제 의원도 “지난 8월에 한국을 방문한 마이클 커비 UN조사위원장도 북한주민 인권에 대한 한국 사회의 무관심에 깊은 실망감을 표명했다”며 “우리의 무관심이 뼈아프다. 오늘 이 포럼의 뜻 깊은 의미와 관심이 국회에 잘 전달되도록 열심히 뛰겠다”고 전했다.

강철환 대표는 “북에서 수용소에 있던 시절 남한에서 보낸 풍선을 받고서 우리를 생각하는 존재가 있다는 것에 희망을 느꼈다”며 “북한인권법 제정도 중요하지만 현재 있는 법 테두리 안에서 북한주민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오경섭 박사는 “현재 정부에는 북한주민의 인권을 위한 팀이 없다. 박근혜 정부는 진정 북한주민의 인권을 위한 정책이 무엇인지 생각해야하고 정부는 의지를 갖고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전했다.

김정아 포럼 참가자는 “자신은 북한에서 두 번 입양됐다. 오빠는 그런 과정을 겪은 후 꽃제비로 사망해 시신을 찾지도 못했다”며 “한국에 와서야 처음으로 ‘인권’이라는 단어를 들어봤다. 그런 걸 모른 채 살았고, 죽은 오빠를 생각하니 억울해서 많이 울었다. 북한주민들은 있는지도 모르는 인권이 보호될 수 있도록 북한인권법이 속히 제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중국에 떠돌고 있는 탈북고아들은 한국에 입양될 수가 없다”며 “그들을 입양할 수 있는 법이 속히 제정되길 바란다”고 말해 회의장을 숙연하게 했다.

이에 한희원 교수는 중국의 속지주의와 관련해 국제법상 문제의 소지가 있으므로 북한인권법과는 별개의 법으로 탈북고아지원법이 제정돼야한다고 답했다.

한편 한 교수는 북한인권법의 실효성과 필요성을 이야기하면서 법학자로서 총 32조와 부칙 2조를 포함한 북한인권법안을 제시하면서 “북한인권법에 관련된 포럼이나 세미나가 자주 열린다. 그러나 다음 단계의 논의가 진행될 정도로 숙성되지 못하고 동일한 내용들을 반복하는 것이 아쉽다”며 “오늘 이 자리에 북한인권법 반대론자들과 적극적인 토론을 할 줄 알았는데 하지 못한 것도 아쉽다”고 전했다.

이번 포럼을 주최한 인지연 북한인권법 통과를 위한 모임 대표는 “우리가 숨 쉬듯이 누리는 자유와 인권을 북한주민들도 누리는 날이 속히 오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희 기자 leehee@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