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6.7℃
  • 구름조금서울 16.7℃
  • 구름조금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2℃
  • 맑음울산 16.3℃
  • 구름많음광주 18.9℃
  • 구름많음부산 18.7℃
  • 구름조금고창 17.3℃
  • 구름조금제주 19.7℃
  • 구름조금강화 14.4℃
  • 구름조금보은 16.7℃
  • 구름조금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6일 목요일

메뉴

건설


서울 아파트값 2주 연속 상승폭 둔화...주요지역 상승률 여전

경기 일부 지역 풍선효과도...가격 급락 당분간 없을 듯
전문가 “공급 희소성·임대차시장 불안 요인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 여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대안을 찾는다거나 일단은 지켜보자는 수요자들의 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소폭이나마 가격 상승 현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규제지역을 피한 곳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직전 주(0.23%) 대비 0.04%포인트 축소됐다. 10·15 대책으로 '삼중 규제'가 모두 시행된 이후 2주째 상승세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에 속한 성동구, 광진구, 마포구, 영등포구 등의 상승폭은 전주 보다 약 0.08~0.11%포인트 하락했다. 기존 규제지역이었던 서초·강남·송파·용산구 등도 0.02~0.07%포인트 내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문의와 거래가 감소하며 시장 참여자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0.19% 상승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권에서는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신규 지정된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광명시, 하남시 등은 오름세 둔화가 관찰됐으나 이들 지역도 상승률 자체는 여타 지역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규제를 적용받지 않은 경기도 일부 지역은 풍선효과가 뚜렷했다. 

 

동탄을 낀 화성시는 2주 전 보합에서 직전 주 0.13% 오른 데 이어 이번 주에는 상승폭이 0.26%로 커졌고, 서울 동부권에 인접한 구리시는 직전 주 0.18%에서 이번 주 0.52%로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규제로 묶인 용인시 수지구에 붙은 기흥구(0.05%→0.21%)도 오름폭이 커졌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 랩장은 “현재까지 수요자들은 구매 의지를 완전히 꺾었다기보다는 시장을 좀 더 두고 보자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비수기가 도래하기도 했고 정부 정책에 따른 대응 방안을 찾거나 관망하는 타이밍이기에 당분간 아파트값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그는 “내년에는 공급 부족, 임대차시장 불안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할 거라는 기대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가격이 급격히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자금이 풍부한 수요자의 구미를 당기는 비규제지역(구리·동탄·남양주 등)의 상승 여력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