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대안을 찾는다거나 일단은 지켜보자는 수요자들의 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소폭이나마 가격 상승 현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규제지역을 피한 곳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1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직전 주(0.23%) 대비 0.04%포인트 축소됐다. 10·15 대책으로 '삼중 규제'가 모두 시행된 이후 2주째 상승세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에 속한 성동구, 광진구, 마포구, 영등포구 등의 상승폭은 전주 보다 약 0.08~0.11%포인트 하락했다. 기존 규제지역이었던 서초·강남·송파·용산구 등도 0.02~0.07%포인트 내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문의와 거래가 감소하며 시장 참여자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0.19% 상승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권에서는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신규 지정된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광명시, 하남시 등은 오름세 둔화가 관찰됐으나 이들 지역도 상승률 자체는 여타 지역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규제를 적용받지 않은 경기도 일부 지역은 풍선효과가 뚜렷했다.
동탄을 낀 화성시는 2주 전 보합에서 직전 주 0.13% 오른 데 이어 이번 주에는 상승폭이 0.26%로 커졌고, 서울 동부권에 인접한 구리시는 직전 주 0.18%에서 이번 주 0.52%로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규제로 묶인 용인시 수지구에 붙은 기흥구(0.05%→0.21%)도 오름폭이 커졌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 랩장은 “현재까지 수요자들은 구매 의지를 완전히 꺾었다기보다는 시장을 좀 더 두고 보자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비수기가 도래하기도 했고 정부 정책에 따른 대응 방안을 찾거나 관망하는 타이밍이기에 당분간 아파트값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그는 “내년에는 공급 부족, 임대차시장 불안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할 거라는 기대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가격이 급격히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자금이 풍부한 수요자의 구미를 당기는 비규제지역(구리·동탄·남양주 등)의 상승 여력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