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올 상반기 금융 관련 민원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늘어

한국씨티은행·현대카드·KDB생명·AIG손보 등 민원 많아

금융감독원은 올 상반기중 금융소비자보호처를 통해 접수된 금융민원은 4만258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1%(3921건)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이처럼 민원이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은 보험금 지급 심사강화·신용카드 부가서비스 폐지 등의 영향으로 보험사와 카드사에 대한 민원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가장 많은 민원이 발생한 금융업권은 손해보험업계로 대형 10개사의 평균 민원 건수가 989건에 달했다. 보유계약 10만건당 가장 많은 민원이 발생한 곳은 26.5건을 기록한 AIG손보이고, 흥국화재(21.6건)·롯데손보(19.1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생명보험업계도 16개사 평균 민원건수가 527건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KDB생명이 보유계약 10만건당 발생한 민원이 24.4건으로 가장 높았고, ING생명(23.7건)·알리안츠생명(21.0건) 등도 민원이 많이 발생했다.

이들 보험민원의 70%이상을 주요 4개 유형(보험모집, 보험금 산정·지급, 면책·부책 결정, 계약의 성립·실효)이 차지했고, 대출 등에 대한 민원은 줄었다.

또한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축소에 따른 신용카드사의 민원도 많았다. 올 상반기 신한·삼성·KB국민 등 6개 카드사의 평균 민원 발생건수는 569건으로 조사됐다.

회원 10만명당 민원이 가장 많은 카드사는 현대카드(5.3건)으로 나타났고, 롯데카드(4.9건)·삼성카드(4.4건)도 많은 민원이 발생했다.

단순 민원건수로는 업계 1위인 신한카드가 1023건으로 가장 많았고, KB국민카드(596건)·삼성카드(524건) 등 점유율이 높은 카드사의 민원 발생 건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민원건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금융권은 금융투자업계(42.7%↑)로 나타났다.

감독당국의 주식 불공정거래 조사 강화조치 추진 및 셀트리온 공매도 사건 등으로 ''불공정 거래 의혹''에 대해 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이 112.8% 증가했고, 주식매매 민원도 39.9% 늘어났다.

13개 금융투자회사의 평균 민원건수는 50건, 활동계좌 10만좌당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한 회사는 동양증권(3.8건)·대우증권(3.3건)·키움증권(2.7건) 등이었다.

은행에 대한 민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중도금대출 관련 민원과 근저당 설정비 반환 관련 민원이 많았고, 전체 민원은 14.9% 늘어났다.  9개 은행의 평균 민원건수는 493건이었고, 고객 10만명당 민원은 한국씨티은행(5.6건)· 외환은행(5.2건)·SC은행(4.7건)등이 많았다.

금감원은 현재 분기별로 공시하고 있는 민원건수를 월별로 산출해 각 금융협회에 통보하고,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실효성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2분기 연속 민원건수 상위권(3위 이내)에 속하는 회사는 금융사별 민원전담관리자가 밀착관리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이 해당 금융사 소비자보호담당 임원과의 면담을 갖게 된다.

송현아 기자 sha72@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 '이재명 피습' 조직적 은폐...박선원·천준호 "재조사 하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천준호 의원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과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조직적 은폐 및 축소 왜곡 정황을 폭로했다. 이어 그들은 당시 국정원과 수사당국, 국무조정실에 강력한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은 지난 2024년 1월 2일, 이재명 대표가 부산 가덕도 유세 현장에서 날 길이 12cm의 등산용 칼로 목 부위를 찔린 테러 사건으로, 범인은 칼을 양날검으로 개조까지 해가며 살상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사건 직후 대테러합동조사팀을 소집했음에도 이후 테러 지정 판단을 유보한 채 법원이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판단한 사건을 단순 ‘커터칼 미수’로 왜곡한 내부 보고서를 작성했다 . 특히 이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하루 전인 2025년 4월 3일, 탄핵선고를 뒤집어 볼 목적으로 김건희 여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정치검사 출신 김상민 국정원 특보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야당 대표이자 유력한 대선주자였던 사람에 대한 테러를 '커터칼 미수'라고 축소 왜곡하면서 국정원 대테러국에 해당 사건이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대법원 판결을 무시했다. 또한 국정원은 “단순 살인미수로 수사하겠다”는 경찰의 입장만 듣고 테러 여부 판단을 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