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현대차, 사우디 '자동차 허브' 구축 시동..."전기차·내연차 동시 생산"

14일,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서 착공식 개최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협력해 중동 지역 최초의 차량 생산 거점을 구축하며, 중동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차의 사우디 현지화 전략을 본격화하는 동시에, 사우디의 자동차 산업 육성에도 큰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14일(현지시간) 사우디 킹 압둘라 경제도시(KAEC)에 조성된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 내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HMMME, Hyundai Motor Manufacturing Middle East) 부지에서 착공식을 진행했다.

 

이 산업단지는 사우디 정부가 모빌리티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조성한 핵심 프로젝트로, 자동차 제조 및 공급망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신설 법인 HMMME는 현대차가 30%, 사우디 국부펀드가 70%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 형태로 설립됐으며, 연간 약 5만 대 규모의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시설로 2026년 4분기 완공을 목표로 한다.

 

착공식에는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장관, 국부펀드 야지드 알후미에드 부총재, 한국 측에서는 문병준 주사우디 대사 대리, 현대차 장재훈 부회장 등 한-사우디 양국 주요 인사 20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알후미에드 부총재는 “현대차와의 협력은 사우디가 자동차 산업을 기술 중심 산업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현지 인재 양성과 함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재훈 부회장은 “오늘 착공은 현대차와 사우디 모두에게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여는 전환점”이라며 “현지 산업 생태계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사우디가 추진 중인 '국가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에너지 중심의 산업 구조를 제조업 및 미래 기술 중심으로 재편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다.

 

현대차는 사우디의 인프라와 인재를 바탕으로 자사의 첨단 제조기술을 접목시켜 HMMME를 중동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허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로비로 역사 덮은 일본
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했는지 유네스코에서 따지려던 정부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갔다.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서 '잠정 의제'로 상정된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가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한국 측 대표는 일본의 미진한 조치에 대해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취지로 안건 제안 이유를 설명했지만 일본은 사안이 위원회보다는 양자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보이며 해당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고, 한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다. 투표는 21개 위원국 대상의 비밀투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일본의 수정안이 과반수 찬성(찬성 7·반대 3·기권 8·무효 3)으로 채택됐다. 이에 따라 오는 16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회의 기간은 물론 향후 유네스코 차원에서 군함도 관련 사안을 제기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일본이 지난 2015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린 군함도는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이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