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19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저출산 세계1위' 韓 9년만에 아이울음 커졌다…1년새 8천명↑

지난해 23만8천명 ...'0.7명대' 합계출산율도 반등
9년 만에 출생아수 증가…OECD 평균 '절반 수준'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000여명으로 1년새 8,000명가량 늘었다.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로 9년 만이다.

 

0.7명대까지 추락한 합계출산율도 소폭 반등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1.0명을 밑도는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더는 떨어지기 어려운 수준까지 간 것으로 분석된다. 

 

26일 통계청의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전년보다 8,300명(3.6%) 증가했다. 연간 출생아는 2015년 43만8,420명에서 2016년 40만6천243명으로 3만2,000여명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8년 연속 급감했다. 2017년 35만7,771명으로 30만명대로 떨어졌고, 2020년부터는 20만명대를 유지했다.

 

월별로는 출생아가 2만명 부근에서 맴도는 흐름이다. 출생아가 늘면서 '합계출산율'도 지난해 0.75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올랐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로, 인구 흐름의 기준점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2023년 0.72명까지 8년 연속으로 추락했다.

 

2030년 정책목표인 '합계출산율 1.0명' 달성을 기대할 정도로 유의미한 반등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0.6명대로 더 추락하는 상황은 피한 셈이다.

 

합계출산율이 반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국제적 기준에서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1.51명으로, 우리나라의 갑절에 달한다. 출산율 1.0명을 밑도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역시나 심각한 저출산을 겪고 있는 일본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1.26명이다.

 

한편, 전체 인구는 5년 연속으로 자연감소를 이어갔다. 지난해 사망자는 35만8,400명으로, 출생아 수를 12만명 웃돌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