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3명 중 2명, '가족과 대화' 하루 1시간도 안해

 

3명 중 2명은 가족과 하루 1시간도 채 대화하지 않는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응답자 1,242명으로 대상으로 ‘가족 간 대화 실태’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가족과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하는 주기는 얼마나 되는지 물어봤다. ‘매일(50.7%)’ 한다는 응답자가 절반 정도였다. 이어 ‘주 1~2회(22.2%)’, ‘주 5~6회(14.4%)’, ‘주 3~4회(12.7%)’ 순이었다.

그렇다면, 가족과 하루 중 대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응답자의 65.3%는 하루 한 시간이 채 안 된다고 했다. 이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가족과 같이 사는지, 따로 떨어져 사는지를 분류한 후 같이 사는 경우는 오프라인(대면) 대화를, 떨어져서 사는 경우에는 온라인(메신저, 일반 통화, 영상 통화 등)으로 하루 중 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물어봤다.

현재, 가족과 함께 사는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3명은 ‘30분 이상 한 시간 미만(30.2%)’을 꼽았다. 그다음 ‘30분 미만(29.2%)’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약 60%는 하루 중 가족과의 대화 시간이 한 시간 채 안 된다고 한 것이다.

가족과 떨어져 사는 응답자들의 대화 시간은 더 짧았다. ‘한 시간 미만’이라고 한 응답자는 89.2%, 하루 한 시간 이상 소통한다고 한 이들은 10명 중 1명(10.8%) 정도에 불과했다.

국내 커뮤니티를 살펴보면 ‘가족 단톡방’을 주제로 한 글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가족 단톡방을 꼭 개설해야 하는지, 친척 포함 대가족 단톡방에 초대받았는데 꼭 참여해야 하는지, 가족 단톡방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등 여러 사람의 고민거리와 질문들을 접할 수 있다.

현재, 가족 단톡방이 있는지, 있다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전체 응답자에게 물어봤다. 그 결과, 절반 정도(51.6%)는 ‘있으며 활성화되고 있다’ 라고 했다. 25.5%의 응답자들은 ‘있지만 잘 안 쓴다’, 나머지 22.9%는 ‘개설조차 안 했다’ 라고 했다.

가족 단톡방을 개설하지 않았다고 한 이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대면 대화가 더 편하고 전달력이 좋다(73.6%)’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1:1 메신저로도 충분히 소통할 수 있어서(71.5%)’, ‘귀찮아서(48.9%)’ 순으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화목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필수 조건은 무엇일지를 물어봤다. 그 결과, ‘가족과의 대화(72.5%)’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았고, 이보다 더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건강(80.6%)’이었다. 이밖에 ‘돈(71.7%)’과 ‘가족이 함께 지내는 것(22.5%)’, ‘내 집 마련(16.3%)’, ‘자녀를 포함한 새로운 가족의 탄생(12.1%)’ 등이 화목한 가정의 필수 조건으로 꼽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3년 4월 26일부터 5월 1일까지 진행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2.75%p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