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른 가운데 유력 대권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또 구설수에 휩싸였다. 야권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측이 6년 전 이 지사의 성남시장 시절 일인 ‘성남FC 후원금’ 의혹을 꺼내들고 나오면서다.
윤 전 총장 캠프 법률팀은 전날(4일) 보도자료를 통해 “성남시장이자 성남FC 구단주였던 이재명 후보는 네이버 등 (관내) 6개 기업의 현안이 있던 때 이들 기업으로부터 성남FC 후원금 161억5,000만원을 받았다”며 “이는 K스포츠재단이 기업들로부터 후원을 받은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K스포츠재단 사건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비선실세’ 최서원(개명전 최순실) 씨와 공모해 대기업을 상대로 출연금을 강제 모금한 ‘국정농단’ 사건 중 하나다.
법률팀은 “기업 후원금도 현안이나 이해관계와 결부된다면 제3자 뇌물이 될 수 있다”며 “후원 기간 성남시청에 해당 기업들의 현안들이 계류 중이었는데 이와 결부돼 후원금이 지급된 것은 아닌지, 이 후보가 성남시장에서 사퇴한 후 후원이 중단된 이유는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성남FC 후원금 의혹은 2018년 6월 지방선거 과정에서 바른미래당 측이 고발한 사안이다. 이후 수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올해 2월 한 시민단체가 다시 고발하면서 3년여 만에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이후 지난달 15일에는 경찰에서 성남FC 법인과 성남시청 공무원 계좌를 압수수색해 분석한 결과 범죄혐의를 찾지 못해 무혐의로 가닥을 잡았다는 언론보도가 나왔다. 결국 경찰은 이 지사를 소환하는 대신 서면조사를 거친 뒤 최종 결론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총장 측은 이 같은 경찰 수사도 문제 삼았다. 법률팀은 “겨우 4개월가량 수사해 6개 기업의 인허가 현안과 결부된 뇌물성 유무가 충분히 확인됐는지 의문”이라며 “여당 유력 후보자에 대한 면죄부 수사라는 평가가 나오지 않기 위해서는 핵심 쟁점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K스포츠재단 판례와의 구조적 유사성에 대한 면밀한 법적 판단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당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지사가 구설수에 오른 것은 하루이틀일이 아니다. 이 지사는 선거 때마다 ‘여배우 스캔들’, ‘친형 강제입원’ 의혹 등이 불거지며 곤욕을 치렀다. 결국 ‘친형 강제입원’ 의혹과 관련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던 이 지사는 지난해 10월 무죄선고를 받으며 해당 의혹은 매듭지은 상태다.
민주당 대선주자 최종선출을 두 달여 앞둔 시점에서 ‘여배우 스캔들’이 또 나오고 있는 가운데 ‘성남FC 후원금’ 의혹은 이번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