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4명, '탄소중립 더 빨리 추진해야'

응답자 42.4%가 '계획보다 더 빨리 추진'
정부 계획대로 '2050년까지' 응답 28.7%, '더 늦게 추진해도 된다' 응답은 13.5%

 

국민 10명 중 4명 정도는 정부가 '탄소중립'을 계획보다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오는 2050년까지 실질 탄소 배출량 '0'에 도달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0일 'TBS' 의뢰로 탄소중립 추진 속도 관련 여론을 조사한 결과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42.4%로 다수였다.

 

정부의 계획대로 '2050년까지가 적당하다'라는 응답은 28.7%, '더 늦게 추진해도 된다'라는 응답은 13.5%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은 15.5%였다.

 

지금보다 탄소중립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은 대부분의 권역에서 우세했다.

 

특히 대전·세종·충청(더 빨리 추진 58.5% vs. 2050년 적당 23.4% vs. 더 늦게 추진 8.8%) 거주자 10명 중 6명 정도인 58.5%가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해 다른 지역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광주·전라(51.4% vs. 24.9% vs. 17.2%), 대구·경북(45.2% vs. 28.7% vs. 17.3%)에서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다른 응답보다 높았다.

 

전국 원전의 상당수가 모여 있는 부산·울산·경남에서는 탄소중립 추진 속도에 대해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36.3%로 평균 대비 많았다.

 

연령대별로 봐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40대(더 빨리 추진 51.2% vs. 2050년 적당 26.4% vs. 더 늦게 추진 11.6%) 절반 이상은 2050년보다 '더 빨리 탄소중립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50대(45.3% vs. 27.3% vs. 13.8%)와 30대(41.6% vs. 26.5% vs. 17.4%), 60대(41.3% vs. 26.1% vs. 10.7%), 70세 이상(38.2% vs. 29.6% vs. 11.3%)에서도 '더 빨리 추진' 응답이 다른 응답 대비 많았다.

 

반면 20대에서는 '더 빨리 추진' 의견과 '2050년 적당' 의견이 각각 34.3%와 35.9%로 팽팽하게 집계됐다.

 

이념성향별로는 조금 다른 의견 양상을 보였다. 진보층의 65.7%는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반면, 보수층과 중도층에서는 '더 빨리 추진' 응답과 '2050년 적당' 응답이 팽팽하게 집계됐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도 결과가 달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 10명 중 6명 정도인 61.7%가 2050년보다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가운데 '더 빨리 추진' 28.7%, '2050년 적당' 28.8%, '더 늦게 추진' 21.1%로 집계됐다. 무당층은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33.8%로 탄소중립 추진 속도에 대한 유보적 응답이 많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일 전국 18세 이상 8,538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5.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