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4명, '탄소중립 더 빨리 추진해야'

응답자 42.4%가 '계획보다 더 빨리 추진'
정부 계획대로 '2050년까지' 응답 28.7%, '더 늦게 추진해도 된다' 응답은 13.5%

 

국민 10명 중 4명 정도는 정부가 '탄소중립'을 계획보다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오는 2050년까지 실질 탄소 배출량 '0'에 도달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0일 'TBS' 의뢰로 탄소중립 추진 속도 관련 여론을 조사한 결과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42.4%로 다수였다.

 

정부의 계획대로 '2050년까지가 적당하다'라는 응답은 28.7%, '더 늦게 추진해도 된다'라는 응답은 13.5%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은 15.5%였다.

 

지금보다 탄소중립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은 대부분의 권역에서 우세했다.

 

특히 대전·세종·충청(더 빨리 추진 58.5% vs. 2050년 적당 23.4% vs. 더 늦게 추진 8.8%) 거주자 10명 중 6명 정도인 58.5%가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해 다른 지역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광주·전라(51.4% vs. 24.9% vs. 17.2%), 대구·경북(45.2% vs. 28.7% vs. 17.3%)에서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다른 응답보다 높았다.

 

전국 원전의 상당수가 모여 있는 부산·울산·경남에서는 탄소중립 추진 속도에 대해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36.3%로 평균 대비 많았다.

 

연령대별로 봐도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40대(더 빨리 추진 51.2% vs. 2050년 적당 26.4% vs. 더 늦게 추진 11.6%) 절반 이상은 2050년보다 '더 빨리 탄소중립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50대(45.3% vs. 27.3% vs. 13.8%)와 30대(41.6% vs. 26.5% vs. 17.4%), 60대(41.3% vs. 26.1% vs. 10.7%), 70세 이상(38.2% vs. 29.6% vs. 11.3%)에서도 '더 빨리 추진' 응답이 다른 응답 대비 많았다.

 

반면 20대에서는 '더 빨리 추진' 의견과 '2050년 적당' 의견이 각각 34.3%와 35.9%로 팽팽하게 집계됐다.

 

이념성향별로는 조금 다른 의견 양상을 보였다. 진보층의 65.7%는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반면, 보수층과 중도층에서는 '더 빨리 추진' 응답과 '2050년 적당' 응답이 팽팽하게 집계됐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도 결과가 달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 10명 중 6명 정도인 61.7%가 2050년보다 '더 빨리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가운데 '더 빨리 추진' 28.7%, '2050년 적당' 28.8%, '더 늦게 추진' 21.1%로 집계됐다. 무당층은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33.8%로 탄소중립 추진 속도에 대한 유보적 응답이 많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일 전국 18세 이상 8,538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5.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