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설


집값 폭등에 ‘패닉바잉’...서울 사람들 아파트 구입 역대 최대

-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 9억2,787만원
- 서울 거주자들이 가장 많이 매입한 곳은 경기도 고양시
- “전셋값까지 치솟자 주거불안 느껴...매입 분위기 한동안 지속될 것”

 

문재인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매매값과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집값이 더 오를 수 있다’는 불안감에 따른 ‘패닉 바잉’(Panic Buying·공포에 의한 사재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집값을 잡는다며 부동산 규제를 쏟아내는데도 무리하게 빚을 내고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움직임이 커지면서 올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들의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감정원의 아파트매매 거래현황을 분석해 29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가 전국 아파트를 매입한 거래량은 3만1,89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감정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서울 거주자들이 경기도와 인천 소재 아파트를 사들인 거래량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가 경기도 아파트를 매입한 거래량은 2만1,998건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상반기 연 평균(2006~2019년) 거래량(1만776건)보다도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매입한 경기도 지역은 ‘고양시’로 올해 상반기에만 2,819건이 거래됐다. 이어 ▲남양주시(2,371건) ▲용인시(1,953건) ▲김포시(1,504건) ▲수원시(1,502건) ▲의정부시(1,315건) 등이다.

 

또 서울 거주자가 매입한 인천 아파트는 상반기 연 평균(2006~2019년) 1,396건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3,143건으로 조사돼 125% 상승했다. 인천에서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매입한 곳은 ‘부평구’로 올해 상반기 거래량은 665건이다. 이어 서구 622건, 연수구 582건, 남동구 469건 순이다.

 

한편 올해 7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9억2,787만원으로, 전년대비 7,072만원(8.25%) 올랐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22번의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치솟고 있고, 최근에는 전셋값 마저 올랐다”며 “주거 불안정을 느낀 서울 거주자들이 늘어나 경기도나 인천 아파트 매입하는 분위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