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정의기억연대 논란에 대해 "위안부 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의연 논란과 관련한 첫 언급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 모두발언에서 "위안부 운동을 둘러싼 논란이 매우 혼란스럽다. 제가 말씀드리기도 조심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위안부 운동 30년 역사는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여성 인권과 평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 인류 보편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숭고한 뜻이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위안부 할머니가 없는 위안부 운동을 생각할 수 없다"라며 "위안부 할머니들은 참혹했던 삶을 증언하고, 위안부 운동을 이끌어 오신 것만으로도 누구의 인정도 필요 없이 스스로 존엄하다"라고 했다.
또 "위안부 운동은 인간의 자발적 참여와 연대로 성장해온 운동"이라며 "피해자 할머니들은 스스로 여성인권운동가가 되어 세계 곳곳의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과 손을 잡았다. 시민사회의 많은 활동가들이 연대했고, 시민들도 다 같이 힘을 보탰다. 어린 학생들까지도 수요집회에 참여했고, 위안부 문제를 숨겨진 과거로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30년간 줄기차게 피해자와 활동가들, 시민들이 함께 연대하고 힘을 모은 결과 위안부 운동은 세계사적 인권운동으로 자리매김했다. 결코 부정하거나 폄훼할 수 없는 역사"라며 "시민운동은 시민의식과 함께 발전해왔다. 이번 논란은 시민단체의 활동 방식이나 행태에 대해서도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라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일각에서 일고 있는 위안부 운동 폄훼 움직임에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라며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다. 반인륜적 전쟁 범죄를 고발하고, 여성 인권의 가치를 옹호하기 위해 헌신한 위안부 운동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 도전"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말이 있다"라며 "지금의 논란과 시련이 위안부 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정의연의 회계 부실 논란에 대해선 "정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기부금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며 "자신이 낸 기부금이나 후원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다면 국민들의 선의가 바르게 쓰이게 되고, 기부문화도 성숙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라며 "시민단체들도 함께 노력해 주시기 바란다. 국민들께서도 시민운동의 발전을 위해 생산적인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