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3.6℃
  • 맑음대구 16.9℃
  • 맑음울산 15.6℃
  • 맑음광주 13.5℃
  • 구름조금부산 16.8℃
  • 맑음고창 10.3℃
  • 맑음제주 14.6℃
  • 맑음강화 15.6℃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10.4℃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4.2℃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정치


‘따릉이’ 이용 늘수록 서울시 적자도 늘어

2015년 9월 도입 이후 4년간 이용 건수 3,000만건 육박
서울시 적자 2016년 28억원 → 2018년 78억원…3배 증가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 도입 이후 이용 건수가 크게 늘면서 서울시의 적자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따릉이 연도별 이용자 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 9월 도입된 ‘따릉이’는 도입 4년 만에 3,000만건에 육박할 정도로 매년 이용 건수가 크게 늘었고, 회원 가입 수 역시 약 160만명에 달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16년 5,600대로 운영되던 ‘따릉이’ 자전거 수를 2020년까지 4만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8월 기준 ‘따릉이’ 자전거 수는 총 2만5,000대다.

 

 

문제는 ‘따릉이’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서울시의 예산 투입액도 매년 증가해 사업 운영과 관련한 서울시의 적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2016년 운영비와 구축비를 포함해 약 65억원 규모였던 ‘따릉이’ 사업 예산은 2018년 271억워으로 약 3배 증가했고, 2020년까지 ‘따릉이’ 자전거 4만대 운영을 위해 추가로 도입되는 자전거와 단말기, 대여소 등을 포함하면 투입되는 예산은 더 늘어나게 된다.

 

자전거 구입 등 초기 구축비를 제외한 ‘따릉이’ 사업의 순수 운영비(인건비 및 유지보수비 등)와 ‘따릉이’ 요금수입을 대비한 ‘연도별 따릉이 적자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6년 약 28억원의 적자가 발생했고, 2018년에는 78억원, 2019년에는 8월 기준 52억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김 의원은 “대안적 교통수단,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많은 서울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따릉이’의 운용비용 문제를 단순히 수익성 측면만 따져서 접근할 수는 없겠지만, 현재와 같은 적자운영이 계속될 경우 결국 서울시민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따릉이’ 이용에 있어 서울시민의 편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나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현재 운영 중인 ‘따릉이’ 규모의 적정성을 제대로 따져보고, 부가적 수익원 발굴 및 운영비 절감 등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윤상현 "알리·테무서 판매되는 어린이제품 유해물질 범벅...정부의 적극 대처 시급"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알리·테무 등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에 대해 정부의 적극 대처를 촉구했다. 윤 의원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어제(9일) 서울시가 발표한 해외 온라인 플랫품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제품 71개 중에 41%인 29개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시장의 혼란을 잠재울 수 있도록 적극행정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계 플랫폼에서 해외직구로 판매하는 어린이 학용품과 슬라임 등 완구에서 가습기살균제 성분 등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된 것이 확인됐다"며 "초저가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이 공산품을 넘어 신선식품·어린이제품 등으로 공격적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국민들의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윤 의원은 "유해물질 관련 상품의 안전성, 불량·파손·가품 등 피해 대처뿐 아니라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도 잇따르고 있지만 관련 법제도 미비로 제재 방법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라며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업체들이 초저가 공세를 할 수 있는 이유는 국내 경쟁업체들에 부과되는 규제의 틀에서 벗어나 있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