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中企 신입사원 10명 중 4명 ‘조기퇴사’…“연봉이 낮아서”

 

올해 중소기업에 취업한 신입사원 10명 중 4명은 조기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봉수준이 낮아서다.

 

4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5월2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올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국내 중소기업 67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5.1%가 ‘채용했던 신입사원 중 퇴사한 직원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신입사원 평균 퇴사율은 37.2%로, 퇴사가 가장 많았던 직무(복수응답)는 ‘영업직(30.8%)’이었다.

 

다음으로 ▲고객상담/TM(17.9%) ▲생산/현장직(17.5%) ▲판매/서비스(16.3%) ▲인사/총무직(15.9%) ▲IT/정보통신직(15.8%) ▲재무/회계직(15.3%) 등이 뒤를 이었다.

 

신입사원들의 퇴사 시기는 ▲입사 후 1~3개월 이내가 4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입사 후 4~6개월 이내(27.4%) ▲입사 후 1개월 미만(12.1%) ▲입사 후 7~9개월 이내(6.8%) ▲입사 후 10~12개월 이내(6.2%) 순이었다.

 

이들이 퇴사한 이유(복수응답)는 ‘연봉이 낮아서(44.2%)’,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32.4%)’ 등이 다수였다.

 

이밖에 ▲실제 업무가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26.5%) ▲조직 적응에 어려움을 느껴서(19.2%) ▲상사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않아서(17.0%) ▲기업문화가 맞지 않아서(14.9%) ▲복리후생이 뒤떨어져서(14.4%) 등도 있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기업들은 신입사원의 조기 퇴직률을 낮추기 위해(복수응답) ‘다양한 복리후생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47.8%)’고 판단하고 있었다.

 

또한 ‘채용 시점에 입사 후 맡게 될 직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도 40.7%였다.

 

아울러, ▲회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비전을 심어줘야 한다(31.4%) ▲유대감과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선후배 멘토링 제도 등 도입(25.6%) ▲신입사원 개인의 경력관리 비전 제시를 통한 업무 집중 도모(24.8%) 등의 의견도 제시됐다.

 

변지성 잡코리아 팀장은 “입사 후 조기퇴사나 너무 잦은 이직은 오히려 경력관리에 있어 좋지 않다”며 “실제 신입사원들의 조기퇴사 사유를 보면 연봉 외에 직무가 맞지 않거나 상이한 업무 때문인 경우가 많은데, 입사를 결정하기 전 지원한 직무에 대해 철저하게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소비자원, 직원 사칭· 대리결제 등 소상공인에 '사기 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이 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판매물품 구매를 조건으로 다른 물품 결제를 대신하도록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 남성이 꽃집, 화훼농원 등에 전화해 "한국소비자원 직원인데 나무, 화분 등을 대량 구매하고 싶다"며 견적서를 요청했다."이후 기관 상징(CI)과 홈페이지 주소가 인쇄된 명함을 보낸 뒤, ‘물품 구매 확약서’ 작성이나 홍삼·매실원액 등 다른 제품을 대신 구입해 달라며 대리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경기를 틈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심리를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공공기관은 결코 물품 구매를 위해 대리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소상공인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구매대행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햅핑'이 운영하는 '의류 도매 S-마트' 쇼핑몰을 이용한 소비자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81건은 대부분 배송 지연 등으로 인한 정당한 환급 요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