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8.5℃
  • 박무서울 9.1℃
  • 박무대전 8.0℃
  • 박무대구 7.9℃
  • 박무울산 10.2℃
  • 박무광주 10.3℃
  • 맑음부산 14.3℃
  • 구름조금고창 8.4℃
  • 맑음제주 16.9℃
  • 흐림강화 8.0℃
  • 구름많음보은 4.9℃
  • 구름많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7.9℃
  • 구름조금경주시 6.7℃
  • 맑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금융


탄핵론 부상에 트럼프 랠리 종료 가능성↑, 美 시장 ‘매우 혼탁’


 

미국 대선 러시아 개입 의혹과 관련해 시장 커다란 혼란이 야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 의혹과 관련해 악재가 계속되면서 시장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주가 급락과 국채가격이 대폭 상승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친기업 정책과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문도 터져 나오고 있으며, 대통령 탄핵시 금융시장 반응을 추정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이 고조되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Gary Pollack최근 정치적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고, 일주일 전에 비해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졌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트럼프 랠리가 조기에 종료될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월스트릿저널(WSJ)에 의하면 지난 미 대선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세제개혁, 의료제도 개정, 대규모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로 주요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혹이 풀리지 않으면서 탄핵까지 거론되고 있어 지난 17일 다우 지수는 대선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이 때문에 트럼프 정부의 경기부양책 기대로 시작된 트럼프 랠리가 조기에 종료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ScotiabankShaun Osborne트럼프 정부와 러시아와의 연루 사건으로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되며 증시의 하방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요 자산 가격은 이미 작년 대선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증시는 트럼프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 이행 지연 가능성에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S&P 소형주 600 지수가 연초 대비 1% 하락했고, 트럼프 정책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금융주와 에너지 관련주는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지난 미국 대선 당시 러시아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하던 제임스 코브 전 FBI 국장이 해임 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과 러시아에 대한 의혹이 증폭된 가운데 여당인 공화당 내에서도 해당 사건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미 상원 정보위원회는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을 둘러싼 의혹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있고, 해임된 코미 전 FBI 국장을 의회 증언으로 신청하는 등 해당 사건을 심도 있게 조사하는 모습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