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7℃
  • 흐림강릉 14.7℃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5.5℃
  • 맑음광주 16.9℃
  • 구름조금부산 16.9℃
  • 맑음고창 13.1℃
  • 맑음제주 18.3℃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1.9℃
  • 맑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3.0℃
  • 맑음거제 15.7℃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서울시, 서울 소재 대학생에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이번 달 말까지 서울시 홈페이지 통해 등록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2016 하반기 대학생 학자금대출 이자지원사업이 이번 달 말까지 접수중이다.

 

‘2016 하반기 대학생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사업은 서울시가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일반 상환학자금, 취업 후 상환학자금)을 받은 서울지역 대학생들에게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대상은 한국장학재단에 대출 신청일 현재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소득 10분위 중 하위 1분위부터 8분위에 해당하는 서울지역대학생이다. 서울지역 대학생은 대출 당시부터 현재까지 주민등록등본 상 서울 주소를 두고 있으면서 서울소재 대학교에 재학(휴학)중이거나, ‘서울소재 고교를 졸업하고 국내 대학교에 재학(휴학)인 대학생이다. 다만 다자녀 가구 대학생도 서울지역 대학생 조건에 해당돼야 한다.

 

지원은 4월 심의위원회에서 구체적으로 정해지며 일반 상환학자금을 대출받은 소득 7분위 이하 대학생이나 3인 이상 다자녀 가구 대학생에는 대출금 발생이자 전액이 지원된다. 이와 함께 일반 상환학자금을 대출 받은 소득 8분위 대학생과 취업 후 상환학자금을 대출 받은 소득 7분위 이하 대학생에는 소득 분위별로 발생이자 일부를 지원한다.

 

다만 일반 상환학자금과 취업 후 상환학자금을 대출받은 다자녀 가구 대학생은 소득분위와 무관하며 차등지원의 구체적 범위는 당해연도 예산 내에서 서울시 대학생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또한 정부지원이 있을 경우 정부지원금을 공제 후 지원한다.

 

지원은 현재 재학(휴학)중인 대학교에서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과 생활비)에 대해 지원하며, 20161231() 18:00 이전까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대학재학(휴학)증명서가 필수적이며 대학원생과 대학졸업생, 수료, 제적 등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대상자 확정 및 원리금 상환은 20174월 이후 지급된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비서류

-서울소재 고교 졸업 대학생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대학재학(휴학)증명서

-대출당시 서울 주소이며 서울소재 대학교 대학생

대학재학(휴학) 증명서 주민등록등본 1

-서울소재 고교 졸업 대학생 (다자녀 가구)

고등학교졸업증명서

대학재학(휴학)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대출당시 서울 주소이며 소울소재 대학교 대학생 (다자녀가구)

대학재학(휴학)증명서

주민등록등본 1

가족관계증명서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