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경제


中 온라인마켓 ‘알리바바’에 한국농식품 전용관 개설

24개 업체 872개 품목 입점

 

세계 최대 온라인 마켓인 알리바바에 우리 농식품 전용관이 개설됐다. 알리바바는 지난 919일 뉴욕증시에 첫 상장 되면서 공모가 68달러보다 38.1%나 급등한 93.89달러로 마감되어 화제가 된 중국의 전자상거래 업체다.

 

지난 2000년에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2천만 달러를 투자한 회사로, 이번 뉴욕상장으로 손 회장은 재산이 166억 달러(172천억 원)가 되어 일본 내 최대갑부로 등극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지난 1027일 중국 최대 B2B 온라인마켓인 알리바바에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알리바바 그룹이 27일부터 알리바바(1688.com)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을 개설하고 한국 농식품 판매를 확대키로 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정책적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난 7월 초 시진핑 주석 방한 시 수행한 이후 8월 중순 다시 한국을 찾은 마윈(馬云) 알리바바 회장을 접견해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알리바바를 통해 중국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한 바 있다. 이번 알리바바를 통한 중국 B2B 온라인 시장 진출은 그 후속조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812일 개최된 제6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중국 온라인 시장을 활용한 농식품 수출 확대 전략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알리바바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 개설은 이런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의 일환이다. 알리바바에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이 개설된 것은 우리 농식품의 중국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참고로 지난해 알리바바 그룹 총매출 규모는 2480억달러(중국내 온라인시장 점유율 : B2B 43%, B2C 50.4%, C2C 95.1%)이며, 중국 온라인 시장 규모는 315조원에 달한다.

 

이번에 알리바바에 개설된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은 중국 B2B 분야에서 한국 농식품 수출 시장을 확대했다는 의미와 함께, 온라인 상에서 한국 농식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전용 판매장을 갖춰 우리 농식품에 대한 중국인의 인지도를 높이고, 우리 농식품의 수요를 더욱 확대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이번 협력 확대를 계기로 알리바바 내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에서는 기존에 알리바바에서 판매되던 13개 한국 농식품 수출업체외에 11개 업체가 신규로 참여하게 됐다. 판매 품목도 면류·음료류·과자류 등 486개 품목에서 온라인 시장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막걸리와 차류·쌀가공품(떡볶이, 쌀과자 등) 872개 품목으로 대폭 확대된다.

 

한국 농식품 전용 판매장이 개설된 27일에는 알리바바 홈페이지에 한국 농식품의 우수성을 알리는 농식품부 이동필 장관의 축하 메시지와 함께 온라인 상에서 고추장·된장·유자차·막걸리 등 96개 품목에 대해 최대 20%까지 특별할인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온라인 시장 개척은 수출 채널 다양화를 통한 우리 농식품 수출 확대 기회가 될 수 있다알리바바와의 협력을 계기로 앞으로도 한국 농식품의 온라인 시장 진출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온라인 마켓의 유력 바이어와 국내 농식품 수출업체간 정기적인 수출 상담회를 개최하고 중국 외에도 일본·미국·EU 등 우리 주력 수출시장의 온라인 채널과도 지속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