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상장사 매출 지난배보다 2%대 증가

영업이익은 5% 증가...순이익은 2%대 감소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572개사 중 분석 가능한 495개사의 올해 1∼9월 매출은 1천368조 7천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3% 늘었다.

영업이익도 79조 1천억 원에서 83조 원으로 5.00%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58조 8천억 원에서 57조 2천억 원으로 2.78% 감소했다. 개별 또는 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한 상장법인들을 분석한 결과도 큰 차이가 없었다.

올들어 3분기까지 개별 또는 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한 12월 결산법인 614개사의 1∼9월 매출은 838조 6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0.56% 늘었고, 영업이익은 46조 7천억 원에서 49조 2천억 원으로 5.21% 많아졌다. 그러나 순이익은 43조 9천억 원에서 38조 4천억 원으로 무려 12.46%나 급감했다.

한편 개별 또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1∼9월 적자로 전환했거나 적자를 지속한 기업은 총 152개(24.8%)로 집계됐다. 사실상 4개 중 1개사꼴로 순손실을 본 셈이다. 적자지속 기업이 83개(13.5%)였고, 적자전환 기업이 69개(11.3%)였다.

업종별 순이익은 모바일 기기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기전자업종의 순이익이 1조 1천억 원 이상 늘었다.

섬유의복(95.61%)과 의약품(24.20%)도 순이익 증가폭이 컸고, 비금속광물과 의료정밀 업종은 작년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반면 화학(-36.85%), 철강금속(-27.15%), 운수장비(-8.51%), 기계(-7.63%) 등 주요 기간산업과 서비스(-42.74%), 유통(-36.51%), 통신(-19.95%), 음식료품(-14.95%) 등 내수산업은 투자 및 소비수요 회복 지연으로 흑자규모가 감소했다.

유가증권시장 3월 결산법인의 회계연도 상반기(4∼9월) 실적도 부진했다.  이들 회사 중 제조업 8개사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0.9% 증가한 6천624억 원으로 집계됐으나, 순이익은 311억 원에서 208억 원으로 33.2%나 쪼그라들었다.

코스닥 기업들도 상황은 비슷했다.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12월 결산법인 621개사의 1∼9월 매출은 86조 7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78조 3천억 원)보다 10.77% 늘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4조 6천억 원에서 4조 5천억 원으로 1.83%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3조 3천억 원에서 3조 원으로 8.88%나 급감했다.적자기업 비율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는 621개사 중 209개(33.65%), 개별 또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는 896개사 중 282개(31.47%)로 집계됐다.

송현아 기자 sha72@m-economynews.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먹어도 된다 들었는데…” 초코파이 먹은 화물차 기사, 벌금 5만원
전북 완주의 한 물류회사 사무실 냉장고에서 간식을 꺼내 먹은 40대 화물차 기사가 법정에서 절도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전주지방법원 형사6단독(재판장 김현지)은 절도 혐의로 기소된 A씨(41세)에게 벌금 5만원을 선고했다고 4일 밝혔다. A씨는 2024년 1월 18일 오전 4시 6분경, 해당 회사의 사무공간 내 냉장고에서 초코파이(400원)와 과자(600원)를 꺼내 먹은 혐의로 기소됐다. 당초 A씨는 약식명령을 받았으나 이에 불복, 무죄를 주장하며 정식재판을 청구했다. 재판에서 A씨는 “동료 기사들로부터 냉장고 간식을 먹어도 된다는 말을 듣고 행동한 것”이라며 고의성이 없음을 주장했지만, 재판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사무공간은 기사 대기 구역과 엄격히 구분돼 있고, 해당 냉장고는 일반 기사들이 출입하지 않는 사무실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간식 제공 시에는 사무직원이 직접 건넸으며, 허락 없이 가져간 사례는 없다는 것이 직원들의 일관된 진술”이라고 판단 근거를 밝혔다. 또한 “기사들끼리 들은 말에만 의존해 사무실 안 냉장고에서 물품을 꺼내는 행위는 물건의 소유 및 처분 권한을 무시한 것으로 절도죄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