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후경제


정부 R&D 결과보니, '2030년 CCS 감축 목표' 달성 사실상 실패

플랜1.5 "서해 대륙붕 저장소, 동해가스전 실증모델 구축, 호주·캐나다 등 해외저장소 확보 불가능"

 

정부의 CCS(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torage) 관련 R&D 과제의 최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30년 CCS 감축목표 480만톤 달성은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2021년부터 2024년까 지 3년 동안 약 68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서 총 8개의 핵심 R&D 과제를 추진했다.

 

10일 기후단체 플랜1.5가 국회 박지혜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2030년 CCS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R&D 과제는 크게 ▲서해 대륙붕의 저장소 확보 ▲동해가스전의 실증모델 구축 ▲호주, 캐나다 등 해외 저장소 확보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플랜1.5는 사업이 종료된 8개 과제의 최종보고서 및 연차보고서를 분석, 저장소 확보 가능성과 해당 사업의 경제성 분석 결과를 종합 정리했다.

 

우선 서해 대륙붕 저장소 확보 R&D 과제의 경우, 2023년 5월에 발생한 안전사고를 계기로 산업부가 특별평가를 진행한 결과 해당 사업을 ‘불성실’로 판단하고 3차년도에 대한 사업 진행을 전면 취소한 것이 드러났다. 특별평가 종합의견서에 따르면 전문기관의 인증, 감리 의견이 있었으나 고의적으로 이행되지 않았고, 예산확보 방안과 연구수행계획이 불명확해 과제 성공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는 것이 주요 이유였다. 

 

해당 과제는 ‘탄소중립기본계획’ 상의 ‘대륙붕 탐사 시추를 통해 1억톤 규모의 저장소를 확보’하는 계획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R&D 사업이었으나, 이번 사업 취소 결정으로 사실상 서해 지역에서 2030년까지 연간 100만톤을 추가로 저장하겠다는 정부 목표는 실현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또한 2030년 기준 연간 120만톤을 저장하는 정부의 계획을 뒷받침하는 R&D 과제였던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 모델 개발’ 사업의 경우에도, 총 저장량은 1,1661 만톤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연간 주입량을 100만톤 수준으로 실행할 경우 총 저장 기간은 총 7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 R&D 과제에서는 사업 실행에 따른 관련 비용을 추산했는데, 육상 수송 및 액화플랜트 투자비는 약 438억원, 동해가스전 철거비용 2,000만 달러, 신규 저장 플랫폼 설치 비용으로 최대 25,000만 달러에 달했다.

 

더불어 해외 석유 및 가스전을 활용하는 CCS 사업에 대한 R&D 연구 결과도 모두 경제성 확보에 실패했다. ‘CCUS 상용 기술 고도화 및 해외 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말레이시아의 저장소를 대상으로 각각 경제성 분석을 수행했는데, 호주는 최소 처리비용이 158달러/톤으로 평가되었으며, 말레이시아는 272달러/톤으로 나타났다.

 

 

플랜1.5 조혜원 정책활동가는 "지난 3년 간 정부가 추진했던 R&D 사업들을 평가한 결과 2030년 CCS 감축목표 달성이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정부는 실현가능성이 낮은 CCS 감축 목표를 지금이라도 재조정해야하며, 향후 2035 NDC 설정 과정에서도 기술적 리스크와 낮은 경제성을 반영하여 관련 목표 설정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지혜 의원은 "정부의 CCS 관련 계획들을 경제성과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전면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하다"라며 "올해 9월 발표 예정인 2035 NDC에서 CCS 감축 목표가 부실하게 설정되지 않도록 국회 차원에서 검토하고 대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검찰, 尹부부 집 압수수색…건진법사 청탁 의혹 수사
일반인이 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건진법사 전성배씨 사이의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아크로비스타 사저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30일 서울남부지검은 오전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의혹 관련 자료를 확보에 나섰다. 압수수색 대상은 전씨의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와 관련된 부분이라고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수부는 공지를 통해 밝혔다. 그간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여러 의혹으로 수사선상에 올랐지만 지난 4일 파면된 이후 압수수색을 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크로비스타 사저는 경호 구역이기는 하지만 기존 한남동 관저처럼 형사소송법상 군사상·직무상 비밀을 요구하는 장소는 아니기 때문에 불승인 등의 절차 사유가 적용되지 않는다. 검찰은 통일교 고위 인사가 건진법사 전씨에게 김 여사 선물 명목으로 다이아몬드 목걸이뿐 아니라 고가의 가방까지 전달한 정황을 추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가 윤 전 대통령 당선 직후 전씨에게 가방 역시 건넸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그 진위와 실제 김 여사에게 전달됐는지 등을 확인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윤 전 본부장이 통일교의 캄보디아 사업과 관련해 정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