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6.2℃
  • 구름조금대구 15.3℃
  • 구름많음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6.4℃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4.5℃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14.2℃
  • 맑음보은 14.3℃
  • 맑음금산 14.6℃
  • 흐림강진군 14.6℃
  • 구름조금경주시 16.1℃
  • 구름많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국내


경찰 폭력으로 입원한 정혜경 “서울청장 고소·현장책임자 처벌 요구”

경찰 진압의 후과로 목·어깨·등·팔 등에 부상 입고 전치 2주 진단 받아

 

경찰 폭력으로 입원한 정혜경 진보당 의원이 28일 “국회의원 신분 확인하고도 자행된 경찰 폭력에 심각성 느꼈다”며 “서울경찰청장 고소하고 현장책임자 처벌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혜경 의원실은 이날 지난 26일 새벽 광화문 농성장에서 있었던 경찰 진압의 후과로 목·어깨·등·팔 등에 부상을 입고 전치 2주의 진단을 받았다고 전했다.

 

정 의원실은 “당시 현장에 함께 있었던 시민들의 증언과 사진·영상을 확인해 본 결과, 정 의원과 주변에서 수 차례 국회의원의 신분임을 밝혔음에도 폭행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해당 내용은 당시 사진 및 영상으로 확인된 것이며 증거자료로 제출할 예정)

 

의원실은 피해 상황으로 ▲남성경찰이 뒤에서 정혜경 의원의 한쪽 팔을 잡고 강하게 끌어당김▲남성 경찰 여러명이 정혜경 의원의 팔다리를 붙잡고 들어 바닥으로 내동댕이침. 2차례 반복▲서 있는 정 의원을 남성경찰들이 힘으로 밀어내며 제압 ▲여성 경찰이 정혜경 의원을 둘러싸고 강제로 몸을 들고 끌어내는 와중에 겉옷과 상의가 벗겨져 속옷까지 노출 ▲거리에 앉은 채 구토와 두통을 호소했으나 경찰들이 둘러싸고 비켜주지 않음 ▲남성 경찰들이 앉아있는 정 의원을 방패로 밀어냄 등 제시했다.

 

정 의원은 “당시 경찰의 행위가 위법했기에 이를 확인하고자 한 국회의원으로서의 업무였다. 오히려 경찰이 업무방해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국회의원 신분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자행한 폭력에 대해 경찰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당시 무전으로 ‘여기 모인 사람들을 연행하라’는 지시를 들었다”며 “윤석열 탄핵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행동을 막기 위한 경찰의 무리하고 강경한 진압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경찰에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혜경 의원은 현재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으며,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를 고소하고 현장 지휘 책임자의 처벌등을 요구할 예정으로 관련한 기자회견도 계획중에 있다고 전했다.

 

정 의원은 이에 앞선 26일 광화문 광장 부근에서 농민트랙터 탈취하는 경찰에 맞서 시민들과 거리 농성 중에 경찰의 과도한 진압에 의해 광화문 윤석열 파면 단식 농성장에서 병원 응급실로 이송됐다.

 



배너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가입 어렵고 활용도 안되는 AI 디지털교과서, 지위 박탈해야"
백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은 AI 디지털교과서가 접속·가입도 어렵고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교과서로서의 지위를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승아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 월 교육부 AI 디지털교과서 중앙상담센터에 접수된 민원은 총 5,200 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접속 문제와 개인정보 동의 등 가입 관련 문의가 2,753 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해, 사용 전 단계부터 큰 불편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후에도 활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 지역의 고등학생 가입자 중 일 평균 접속률은 0.5% 에 불과했고, AI 디지털교과서 채택 학교가 100%에 가까운 대구교육청조차 11%를 넘지 못했다.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에서도 일일 접속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이에 백승아 의원은 “한 반에 단 한 명이라도 가입이 안 됐거나 접속 오류가 생기면 수업 자체가 어려워 교사들이 사용을 꺼리는 실정”이라며, “실제로 AI 디지털교과서 접속이 먹통이 되어 수업에 사용하지 못한 사례도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된 검증 없이 졸속 추진된 정책이기 때문이며,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정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