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내


민주 “추경호, 내란 획책 멈추고 국회 떠나라”...국힘 반박자료 배포

국힘 “추 원내대표, 한 대표와 함께 국회로 이동...의총 장소 다시 국회로 변경”

 

더불어민주당이 6일 “12.3 내란 주범 추경호 원내대표는 내란 획책을 멈추고 당장 국회에서 떠나라”고 촉구했다.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12.3내란의 핵심 주범”이라며 “12월 3일 윤석열 내란 범죄 시행의 날 추경호 대표는 국회 본청으로 향하는 자당 국민의힘 의원들을 혼란에 빠뜨렸다”고 비판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한동훈 대표가 ‘비상 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다. 국민과 함께 막겠다’는 입장문을 내고 국회 본회의장으로 향하던 순간, 추 원내대표는 ‘긴급 최고위원 회의를 당사에서 열겠다’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 혼란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계엄 해제 요구안을 처리하러 온 여당 의원들을 국회 밖 당사로 유인해 발을 묶은 것”이라면서 “우원식 국회의장에게는 시간을 달라며 표결을 의도적으로 늦추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또 “여당 의원들이 당사에 있음을 공공연히 알렸음에도 국민의힘 당사에는 단 한 명의 계엄군도 가지 않았다”며 “총칼로 무장한 계엄군은 오히려 당사가 아닌 국회 본청에 있는 한동훈 대표실을 급습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동료 의원들을 당사로 유인해놓고 정작 본인은 국회 경내에 머물렀다. 동료 국회의원들을 체포하러 온 계엄군에게 내부 정보를 주며 밀정이라도 한 건가”라며 “명태균 씨가 폭로한 20억 원 수수 의혹을 덮으려 내란죄 공범이 된건가”라고 일갈했다.

 

그는 “윤석열의 위헌, 위법적인 비상계엄에 적극 동조한 내란 주범 추경호 원내대표는 더 이상 국회의원의 자격이 없다. 당장 의원직을 사퇴하고 국회를 떠나라”면서 “국가수사본부의 수사를 떳떳하게 받으라”고 요청했다.

 

한편,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측은 이날 추경호 원내대표가 비상계엄 상황 때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의결을 방해한 정황이 있다는 더불어민주당의 주장에 조목조목 반박했다.

 

당 공보실이 배포한 시간대별 자료에 따르면 추 원내대표는 지난 3일 국회 비상 의원총회 소집을 의원들에게 공지했지만, 국회 통제 상황을 파악한 뒤 당사로 장소를 변경했다.

 

이후 추 원내대표는 한동훈 대표와 함께 국회로 이동했고 의총 장소를 다시 국회로 변경했다. 하지만 실제 의원들의 국회 출입이 막히자 당사로 의총 장소를 변경 공지했다.

 

추 원내대표는 당시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통화에서 의원들을 모을 시간을 달라고 호소했고 4일 0시 47분 본회의가 개의했지만, 추 원내대표가 있던 원내대표실 앞이 봉쇄돼있었다고 전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