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1 (토)

  • 흐림동두천 -15.9℃
  • 맑음강릉 -9.0℃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7℃
  • 맑음대구 -10.6℃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9.3℃
  • 흐림고창 -11.9℃
  • 제주 1.4℃
  • 맑음강화 -13.6℃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5.2℃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산업


3분기 경제 성장률 0.1% 그쳐…수출은 0.2% 감소

-내수 회복…민간소비 0.5%↑·설비투자 6.5%↑
-교역조건 개선 등에 실질 국민총소득 1.4% 증가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1% 성장에 머물렀다. 이는 2분기의 -0.2% 역성장에서 반등한 것이지만, 당초 한국은행이 제시했던 전망치인 0.5%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결과다.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1%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분기 성장률은 2023년 1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하다가, 1분기 성장률(1.3%)의 기저 효과 탓에 2분기에는 -0.2%까지 하락했다.

 

부문별로 보면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2%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 중심으로 3.6% 줄었다. 지난해 4분기(-3.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입은 기계·장비 등을 위주로 1.6% 증가했고, 민간소비도 전기·가스·승용차 등 재화와 의료·운송 등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늘면서 0.5% 성장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 중심으로 6.5% 늘었다. 정부소비 역시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성장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늘었다.

 

속보치와 비교해 건설투자(-0.8%포인트)와 설비투자(-0.4%포인트) 성장률은 낮아졌지만, 수출(+0.2%포인트)과 수입(+0.1%포인트), 지식재산생산물투자((+0.1%포인트)는 상향 조정됐다.

3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8%포인트(p)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우리 경제는 수출 성장세가 주도하고 있었는데 하반기 들어 꺾인 모습이다.

 

반면 내수는 성장률을 0.8%p 끌어올렸다. 세부 항목별 기여도는 설비투자 0.6%p, 민간소비 0.3%p, 정부소비 0.1%p 등으로 나타났지만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끌어내렸다.

 

3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직전 분기보다 0.5% 감소했다. 다만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7조3000억원에서 9조원으로 늘어 명목 GDP 성장률(-0.8%)보다는 높았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2분기보다 1.4% 증가했다. 2분기 GNI가 1.4%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국민소득은 사실상 제자리걸음인 셈이다.

 

3분기 실질 GNI가 증가한 것은 실질무역손실이 교역 조건 개선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3분기 실질무역손실은 14조 2000억 원으로 2분기(16조 6000억 원)보다 2조 4000억 원 줄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