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8℃
  • 맑음강릉 7.5℃
  • 맑음서울 4.9℃
  • 맑음대전 6.3℃
  • 맑음대구 7.0℃
  • 맑음울산 7.3℃
  • 흐림광주 6.3℃
  • 맑음부산 8.5℃
  • 흐림고창 5.4℃
  • 제주 10.0℃
  • 맑음강화 4.2℃
  • 맑음보은 4.6℃
  • 맑음금산 6.5℃
  • 흐림강진군 7.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8.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메뉴

국내


민주 “트럼프 행정부 대비 골프 연습...코미디같은 尹정부”

“바이든과의 만찬서 노래, 기시다 전 총리와는 폭탄주”

 

더불어민주당이 11일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대비가 골프 연습이라니 이런 코미디 같은 정부가 있었는가”라고 쏘아붙였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골프 연습’에 나섰다고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 출범 분석 끝에 나온 대응이 고작 골프연습이라니, 실망을 넘어 실소가 나온다”고 일갈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안보와 경제 상황이 그 어느 때보다 위중한 지금, 대통령이 국가 미래를 위한 심도 깊은 전략을 세우는 대신 골프채를 휘두르는데 공을 들이겠다니 귀를 의심하게 한다”며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대미 외교를 코미디로 만들지 말락”고 충고했다.

 

한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찬에서는 노래를 부르고, 기시다 전 총리와는 폭탄주를 마시더니 트럼프 대통령과는 골프인가”라며 “대한민국의 미래와 경제를 책임져야 할 대통령이 국가 전략은 내팽개치고 외국 정상과 폭탄주나 마시고, 골프를 치려 하다니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골프 연습과 외교순방을 빙자한 해외여행에 몰두하는 대통령은 최악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 국익을 지켜낼 수 없다”면서 “정상외교는 취미를 이용해 외교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안일한 사고가 통하는 곳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한편, 지난 10일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의 신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대외 여건 변화에 따른 경제·안보 점검회의’에서 “미국 대선이 끝났고, 두 달 후면 새 행정부가 출범한다. 워싱턴의 새 행정부가 출범을 하고, 또 새로운 정책 기조가 정해지면 세계 경제와 안보에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게 된다”면서 “우리 경제와 안보에도 직간접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만큼 여러 가지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트럼프 당선자와 지난 7일 전화 통화를 했다. 긴 얘기보다는 축하 얘기와 또 안보․경제에 관해서 간단하게 얘기를 나눴는데,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만나서 이런 친교와 대화를 할 시간을 잡기로 일단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골프광’인 트럼프 당선인과 자연스러운 친교를 위해 골프 연습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골프채를 다시 잡은 것은 2016년 이후 8년 만인 것으로 전해졌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국힘 “아이 대신해 ‘학대’ 신고할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국민의힘이 19일 세계 아동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한 아이의 눈물 대신 웃음을 지키고 아이들의 작은 구조 신호에도 먼저 손 내미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효은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오늘은 방임과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지켜내기 위해 제정된 ‘세계 아동학대 예방의 날’”이라면서 “‘아이는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스페인 교육자 프란시스코 페레의 말처럼, 우리는 신체적·정서적 학대를 포함한 어떠한 폭력도 아이에게 허용돼서는 안 된다는 것을 다시금 다짐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동기야말로 사랑으로 보듬어도 늘 부족한 성장기의 귀한 시간이며, 꽃보다 고운 우리 아이들이 학대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키는 일은 부모와 교사, 이웃과 국가 모두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아프리카 속담에 ‘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고 했듯이, 이웃에서 들려오는 아이의 울음과 신음 앞에서 ‘우리 집 일이 아니니까’ 하며 눈감는 순간 우리는 한 아이의 삶에서 마을의 책임을 포기하는 것”이라면서 “학대 피해를 당한 아이도 내 아이와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갈 소중한 동반자이기에, 내 아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라길 바란다면 이웃의 아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