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0℃
  • 구름조금강릉 12.1℃
  • 맑음서울 8.2℃
  • 맑음대전 6.1℃
  • 맑음대구 5.4℃
  • 맑음울산 7.1℃
  • 구름조금광주 7.3℃
  • 맑음부산 10.3℃
  • 구름조금고창 4.4℃
  • 맑음제주 9.5℃
  • 맑음강화 6.0℃
  • 맑음보은 2.3℃
  • 맑음금산 2.5℃
  • 구름많음강진군 3.7℃
  • 맑음경주시 3.2℃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메뉴

산업


반도체·정보통신기기 수출 호조... '9월 경상수지' 111억달러 흑자

5개월 연속 흑자·9월 기준 역대 3위…상품흑자 106.7억달러

 

반도체·휴대전화·자동차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5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경상수지는 111억2천만달러(약 15조5,8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달러)를 낸 뒤 5월(89억2,000만달러)·6월(125억6,000만달러)·7월(89억7,000만달러)·8월(65억2,000만달러)다.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646억4,000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167억5,000만달러)보다 478억9,000만달러나 늘었다.

 

9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106억7,000만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8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흑자 폭도 전월(65억2,000만달러)이나 작년 같은 달(74억9,000만달러)을 크게 웃돌았다.

 

수출(616억7천만달러) 역시 1년 전보다 9.9% 늘었다.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열두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반도체(36.7%)·정보통신기기(30.4%)·승용차(6.4%)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16.2%)·중국(6.3%)·EU(5.1%)·미국(3.4%)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면, 석유제품(-17.6%)·화학공업제품(-8.4%)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10억달러)은 4.9% 증가했다. 반도체 제조장비(62.1%)·반도체(26.5%)·정밀기기(7.6%) 등 자본재 수입이 17.6%, 귀금속·보석류(47.8%)와 의류(5.5%)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이 0.3% 각각 불었다. 하지만 화학공업제품(-12.5%)·원유(-11.6%)·석유제품(-6.7%)·석탄(-5.3%) 등 원자재 수입은 6.8% 감소했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22억4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작년 동월(-32억1,000만달러)보다는 작지만, 전월(-12억3,000만달러)과 비교하면 오히려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는 9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다만 여름철 해외여행 성수기가 지나면서 적자 폭이 8월(-14억2,000만달러)보다 줄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