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


카카오뱅크 3분기 ‘순이익 1242억원’ 역대 최대 규모

작년동기比 30% 증가...이자수익 21%↑·비이자수익 17%↑
1년만에 신규 고객 215만명...고객 활동성 플랫폼 수익 연결

 

카카오뱅크가 올해 고객 활동성 강화에 따른 역대 최대 트래픽 달성, 수수료·플랫폼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대 경영 실적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는 3분기 순이익이 1,24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작년 3분기(954억원)보다 30.1% 급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작년 동기(2,793억원)보다 27.3% 증가한 3,556억원으로 집계돼 3분기 누적 기준으로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누적 영업수익(2조1,983억원) 중 이자수익은 1조7,921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4,820억원)보다 20.9% 증가했다.

 

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됐으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규모가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말 기준 NIM은 2.15%로, 전 분기(2.17%)와 전년 동기(2.31%)보다 각각 0.02%포인트(p), 0.16%p 줄었다.

 

대출 중에서는 3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이 41조2,240억원으로, 작년 동기(36조2,790억원)보다 4조9,450억원(13.63%) 불어났다. 가계대출 증가는 주택담보대출 영향이 크다. 카카오뱅크의 주담대(전세대출 제외) 잔액은 같은 기간 7조9,580억원에서 12조5,390억원으로 4조5,810억원(57.6%) 급증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 공급과 더불어 소상공인 금융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3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은 1조7,000억원으로 작년 동기(7,830억원)의 2.17배 수준이었다. 반면 건전성 지표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말 연체율은 0.48%로 전 분기(0.48%)와 같았으며, 작년 3분기(0.49%)보다는 개선됐다.

 

 

카카오뱅크는 대출·투자 등 플랫폼 비즈니스 성장으로 수익성을 다각화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누적 비이자수익은 4,062억원으로 작년 동기(3,484억원)보다 16.6% 증가했다. 이중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작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2,208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 고객 기반은 확대되는 추세다. 카카오뱅크의 9월 말 고객 수는 2,443만명,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는 1,874만명을 기록했다. 수신 잔액은 3분기 말 기준 54조3,000억원, 여신 잔액은 4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고객의 활동성(트래픽) 증가에 따른 수신의 확대는 안정적인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라며, “이러한 지속가능한 성장성을 바탕으로 포용금융을 보다 확대하고, 고객에게 첫 번째로 선택받는 금융 생활 필수앱으로의 역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개인정보 유출' 테무 13억 과징금…“얼굴·주민번호도 무단처리”
중국 온라인 유통 플랫폼 ‘테무(Temu)’가 한국 소비자 몰래 개인정보를 해외로 넘긴 사실이 드러나면서, 우리 정부로부터 13억6,000여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통해 테무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대해 과징금과 과태료 처분, 개인정보 관리체계 개선 권고 등을 결정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4월부터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업체들을 대상으로 국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해왔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해 7월, 개인정보 국외 이전 관련 규정 위반으로 19억7,800만원의 과징금을 선고받은 바 있다. 반면 테무는 매출 관련 자료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아 처분이 지연됐다. 김해숙 개인정보위 조사1과장은 “테무의 자료 제출이 미흡해 확인 작업이 길어졌고, 최근 입점 판매자 정보 수집 건도 함께 조사하면서 시간이 더 소요됐다”며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은 점도 고려돼 가중처분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테무는 상품 배송 등의 명목으로 한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여러 해외 업체에 위탁하거나 보관토록 했지만, 이용자에게 이를 고지하거나 개인정보처리방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