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5.5℃
  • 맑음강릉 10.1℃
  • 구름조금서울 9.3℃
  • 맑음대전 3.7℃
  • 맑음대구 4.3℃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5.5℃
  • 맑음부산 8.3℃
  • 맑음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11.8℃
  • 맑음강화 7.7℃
  • 흐림보은 0.7℃
  • 맑음금산 0.9℃
  • 맑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1.8℃
  • 맑음거제 6.0℃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메뉴

산업


7월 수입차 등록 작년보다 4%↑... 절반은 하이브리드

BMW 6380대 1위…테슬라 ‘5시리즈’ 베스트셀링 모델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지난 7월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가 작년 동월보다 4% 증가한 2만1천977대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7월까지 누적대수 147,629대는 전년 동기 151,827대 보다 2.8% 감소한 수치다.

 

7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BMW 6,380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4,369대, 테슬라(Tesla) 2,680대, 볼보(Volvo) 1,411대, 렉서스 1,108대, 포르쉐 1,012대, 아우디 921대, 토요타 846대, 폭스바겐 836대, 미니(MINI) 574대, 랜드로버 408대, 포드 356대, 혼다 235대, 지프(Jeep) 224대, 링컨 144대, 쉐보레 113대, 푸조 92대, 캐딜락 73대, 람보르기니 53대, 폴스타 39대, 벤틀리 35대, 지엠씨(GMC) 32대, 마세라티 21대, 롤스로이스 15대였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미만 9,575대(43.6%), 2,000cc~3,000cc미만 6,768대(30.8%), 3,000cc~4,000cc미만 660대(3.0%), 4,000cc이상 388대(1.8%), 기타(전기차) 4,586대(20.9%)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16,166대(73.6%), 미국 3,622대(16.5%), 일본 2,189대(10.0%)순이었고, 연료별로는 하이브리드 10,518대(47.9%), 가솔린 5,354대(24.4%), 전기 4,586대(20.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870대(4.0%), 디젤 649대(3.0%)순이었다.

 

구매유형별로는 21,977대 중 개인구매가 14,160대로 64.4%, 법인구매가 7,817대로 35.6%였다.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 4,465대(31.5%), 서울 2,849대(20.1%), 인천 884대(6.2%)순이었고, 법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부산 2,425대(31.0%), 인천 2,381대(30.5%), 경남 1,095대(14.0%)순으로 집계됐다.

 

7월 베스트셀링 모델은 테슬라 모델Y(1,623대), 테슬라 모델3(1,055대), BMW520 (1,041대)순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