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5 (토)

  • 구름조금동두천 15.1℃
  • 흐림강릉 8.3℃
  • 구름많음서울 16.6℃
  • 구름많음대전 11.6℃
  • 흐림대구 8.4℃
  • 울산 7.3℃
  • 흐림광주 10.7℃
  • 부산 7.8℃
  • 흐림고창 11.7℃
  • 흐림제주 9.2℃
  • 구름조금강화 13.1℃
  • 흐림보은 9.4℃
  • 흐림금산 9.6℃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8.2℃
  • 흐림거제 7.7℃
기상청 제공

금융


일본, 금리 0.25% 올렸다... 15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

'3월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해소 이후 4개월 만에 인상

 

일본은행이 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금리를 4개월 만에 다시 올렸다.

 

현지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개최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현재 0∼0.1%에서 0.25% 정도로 인상하기로 했다.

 

이로써 일본 단기금리는 리먼 브러더스 사태 직후로 금리가 0.3% 전후였던 2008년 12월 이후 15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돌아갔다.

 

앞서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참의원(상원) 재정금융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다음 회의까지 입수 가능한 경제·물가·금융 정세에 대한 데이터에 달려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상될 수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일본은행은 3월 금리 인상 이후 임금 상승 등으로 물가가 2% 넘게 오르고 경기도 회복된다고 판단해 이번에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달 초순 엔화 약세로 엔/달러 환율이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인 161엔대까지 오른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일본은행은 지난달 회의에서 예고한 장기 국채 매입액 감축 규모는 기존 월간 6조엔(약 54조3천억원)에서 2026년 1분기에 절반 수준인 3조엔(약 27조2천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닛케이 신문은 “일본은행은 올해 3월 말 시점에 국채 발행 잔액의 53%를 보유하며 장기금리를 사실상 조절해 왔다”며 “3월 금리 인상 이후에도 국채 매입액을 유지해 온 일본은행이 이번에 보유 국채를 압축하는 '양적 긴축'으로 전환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은행은 이날 경제성장률과 물가 등을 담은 경제전망 수정보고서도 발표했다. 일본은행은 2024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신선식품 제외 기준) 전망을 2.5%로 지난 4월 발표한 기존 전망(2.8%)보다 0.3%포인트 내렸다. 국내총생산(GDP) 기준 실질 성장률은 2024년도는 기존보다 0.2%포인트 내린 0.6%, 2025년도와 2026년도는 각각 1.0%로 변동이 없었다.

 

한편, 이번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8월 1일 미 연준 FOMC 회의 결과가 더욱 주목받게 됐다. 파월 의장은 발표를 앞두고 금리인하 기대감을 높이는 발언을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산림의 기후위기 적응 토론회' 국회에서 열린다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은 18일 국회에서 '산림의 기후위기 적응 토론회'를 개최한다. 정희용 의원이 주최하고 산림청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토론회는 21일 ‘세계 산림의 날’을 앞두고 산림의 정책현황을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및 기후 적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의 발제는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 김현석 서울대학교 교수,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 사무소장이 맡아 발표한다. 주제는 ‘산림의 기후위기 적응 정책 방향’, ‘기후위기에 따른 산림생태계 영향 및 대책’, ‘지방정부 주도 산림분야 기후적응 방향’ 등이다. 이우균 고려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는 패널토론(주제: 산림분야 기후위기 적응 핵심 과제)에는 김준순 강원대학교 교수, 김미령 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기후대응팀장, 오득실 전남산림 연구원 원장,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 회장,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등이 참여한다. 정희용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한 경제적·환경적·사회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기후위기 적응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토 면적의 약 63%를 차지하는 산림의 기후위기 적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