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1℃
  • 흐림대전 3.7℃
  • 맑음대구 5.5℃
  • 맑음울산 5.1℃
  • 흐림광주 5.9℃
  • 맑음부산 5.5℃
  • 흐림고창 5.6℃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강화 -1.5℃
  • 맑음보은 1.6℃
  • 흐림금산 4.2℃
  • 구름많음강진군 6.9℃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메뉴

기후


“지난 일요일, 지구촌 기후 관측이래 가장 더운 날이었다”

EU 기후감시기구 분석…지표면 평균기온 섭씨 17.09도
기후 전문가들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영역에 진입“

 

7월 21일이 "지구촌 기후 관측 이래 가장 더운 날이었다"는 유럽연합(EU) 기후 감시 기구의 관측 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코페르니쿠스 기후 변화 서비스(C3S)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21일 전 세계 지표면의 평균 기온이 섭씨 17.09도(화씨 62.76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C3S가 1940년 기후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따뜻한 기온이다. 직전 일일 최고 기온은 지난해 7월 6일에 기록된 섭씨 17.08도였다.

 

카를로 부온템포 C3S 국장는 ”지구의 열파(heatwaves)는 최고점에 도달하면 서로 뭉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주 초에 '21일 기록'이 다시 경신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워싱턴포스트는 21일 기온이 지구에서 마지막 빙하기가 시작된 10만여 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고대기후를 분석하는 한 과학자에 따르면, ”나무의 나이테, 호수 퇴적물 등 고대 물질을 통해 당시 빙하기 동안에는 지금과 높은 기온을 보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같이 유례를 찾기 힘든 고온 현상은 지난 1년여 간 꾸준히 관측됐다. C3S에 따르면, 지난해 7월 6일 이전까지 지구의 일일 최고기온은 2016년 8월 13일에 기록한 섭씨 16.8도였다. 하지만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2016년 종전 기록을 넘어선 날수는 57일에 달했다.

 

부온템포 C3S 국장은 ”정말 충격적인 것은 지난 13개월 동안의 기온과 이전 기온이 보이는 차이“이라며 ”우리는 실로 경험하지 못한 영역에 있다“고 되짚었다.

 

기후 전문가들은 이같은 추세대로라면 올해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미국 기후분석단체 버클리 어스(Berkeley Earth)는 지난 주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올해 지구의 연평균 기온 기온이 직전 최고치인 지난해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이 92%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클라이밋 센트럴의 앤드루 퍼싱 과학 담당 부대표는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앞으로 몇 달, 몇 년간 새로운 기록이 깨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우리가 계속 대기에 탄소 오염물질을 더하고 있으므로 지구 온도는 계속 올라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 열고 공모 수상작 공개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사무총장 최현승)은 27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2025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를 개최했다. ‘꿈을 키우다, 세종학당의 길’을 주제로 한 이번 교류회에는 국내에서 유학 중이거나 취업한 세종학당 수료생 54명과 이들을 후원하고 있는 기업, 대학 관계자 등 70명이 참석해 상호 교류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교류회에선 후원단체들에 대한 장학생들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서로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자리를 가졌다. 베트남 하노이1 세종학당을 수료하고 재단법인 한글누리 장학생으로 선발된 ‘팜 응옥 꾸잉 니(덕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등은 한국 유학 생활 경험과 각자의 꿈을 공유하기도 했다. ‘2025 세종학당 수료생 한국 생활 수기 영상 공모전’의 수상작들도 공개됐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K-대학생, K-직장인으로서의 고민, 성장, 도전에 관한 이야기가 담긴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세종학당 수료생들의 생생한 한국 생활기를 만나볼 수 있었다. 세종학당재단은 세종학당 출신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한글누리, KB국민카드, 한글과컴퓨터 등 후원단체와 함께 장학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