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0.9℃
  • 구름많음강릉 0.6℃
  • 서울 0.4℃
  • 대전 -0.1℃
  • 대구 3.5℃
  • 구름많음울산 2.6℃
  • 구름많음광주 0.4℃
  • 구름조금부산 3.9℃
  • 흐림고창 -0.1℃
  • 구름많음제주 5.6℃
  • 흐림강화 -0.5℃
  • 흐림보은 -0.3℃
  • 흐림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3.3℃
  • 구름많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홍콩·중국서 위조한 짝퉁 한국제품 97억 달러 규모…수출액의 1.5%

세계에서 유통되는 한국기업 제품을 베낀 위조상품 규모가 97억달러(11조1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5%에 달하는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불법무역과 한국경제(Illicit trade and the Korean economy)’ 보고서를 3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이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국가이지만, 글로벌 가치사슬에 견고하게 통합돼 다양한 부문에서 위조상품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OECD는 한국기업의 위조상품이 유통되면, 소비자들은 정품 대신 위조상품을 구입하게 되고 이는 결국 한국기업의 수출 등 국내외 매출, 제조업 일자리, 정부 세수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분석했다.

 

OECD가 분석한 한국기업의 지재권을 침해하는 위조상품 규모는 2021년에 전 세계적으로 약 97억 달러(111조1000억원),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5%로 분석됐다.

 

지난 2020년과 2021년에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품목은 전자제품(51%), 섬유·의류(20%), 화장품(15%), 잡화(6%), 장난감게임(5%) 등 순이다. 또한, 이들 위조상품이 유래된 지역은 홍콩(69%)과 중국(1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OECD는 위조상품 유통이 확산됨에 따른 한국기업의 국내외 매출 감소, 제조업 일자리, 정부 세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산했다. 실제 한국기업의 국내외 매출액 손실은 61억 달러(7조 원)이며, 이는 제조업 전체 매출의 0.6%에 달하는 것이다.

 

업종별로는 가전·전자·통신장비가 36억 달러로 가장 손실이 컸고, 자동차가 18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제조업 일자리 상실은 2021년 1만3855개로, 전체 제조업 일자리의 0.7%에 해당했다.

 

정부 세수 측면에서도 2021년에 총 15억 7000만 달러(약 1.8조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OECD는 추산했다. 이에 따라 특허청은 해외 지재권 침해 피해 대응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OECD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기업의 해외 지재권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족발야시장, 독도사랑운동본부에 기부금 1,000만원 전달
국내 전통 음식인 족발프랜차이즈 족발야시장을 운영하고 있는 올에프엔비 (대표이사 방경석)가 독도 홍보 사업 동참과 실천을 위한 독도사랑 기부금 1,000만원을 독도사랑운동본부 (총재 노상섭)에 전달하였다. 이번에 전달된 기부금은 독도사랑운동본부가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키즈·청소년·대학생 지원 및 해외 숨은 독도 영웅들을 찾아 가는 ‘고 히어로 프로젝트’지원 사업으로 쓰여질 예정이다. 국내에서 족발야시장과 무청감자탕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올에프엔비는 지난 2023년 2월 독도사랑 업무협약 체결 이후 매년 독도 수호 기금 및 물품을 지속적으로 기부함은 물론 방경석 대표이사 또한 독도사랑운동본부 부총재로서 뜨거운 독도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방경석 대표이사는 “대한민국 독도의 미래는 자라나는 세대들이다. 족발야시장은 독도 홍보의 미래 주역인 키즈·청소년·대학생 지원사업 및 독도 컨텐츠 홍보 영상 사업에도 중점적으로 기부를 해 나갈 계획이며, 부총재로서의 역할 또한 성실히 수행해 낼 것”이라고 밝혔다. 조종철 사무국장은 “올해 출정한 3기 독도어린이의용수비대 독도탐방, 컨텐츠 촬영, 해외의 숨은 독도 영웅을 찾아가는 프로젝트등 홍보사업등 독도홍보를 위한 사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