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1℃
  • 구름많음강릉 7.3℃
  • 서울 5.4℃
  • 흐림대전 2.8℃
  • 박무대구 4.9℃
  • 구름많음울산 8.4℃
  • 구름많음광주 5.5℃
  • 구름많음부산 9.8℃
  • 흐림고창 7.6℃
  • 구름많음제주 10.6℃
  • 흐림강화 6.2℃
  • 흐림보은 -0.4℃
  • 흐림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3.2℃
  • 흐림경주시 1.2℃
  • 구름많음거제 8.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K화장품 수출 85억 달러로 세계 4위 …1000억 이상 기업 12개

지난해 국내 화장품 중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 넘게 감소했으나, 미국, 유럽, 일본 등으로 수출은 증가해 재작년보다 6.4% 늘어난 85억 달러(약 11조원) 세계 4위를 유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 국내 화장품 생산·수입·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약 28억 달러(약 3조6천억원)로 5년째 가장 많았으나, 규모는 2022년 대비 23.1% 감소했다.

 

반면, 작년 북미 수출액은 13억 달러(약 1조7천억원), 유럽 수출액은 11억 달러(약 1조4천억원)로 재작년 대비 44%, 49.7%씩 급증했다.

 

작년 미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44.7% 증가한 12억 달러(약 1조6천억원)를 기록하며 처음 10억 달러를 넘었다. 작년 미국의 화장품 수입액 비중은 국내 제품이 중국을 넘어 5위에 올랐다.

 

이밖에 작년 중동 수출액도 전년 대비 39.9% 늘었고 오세아니아는 39.2%, 중남미는 28.7% 증가하며 수출국이 165개국으로 확대되면서 수출 다변화 흐름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는 미국으로 화장품 수출이 1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수출액이 재작년보다 44.7% 높아지면서 미국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중국을 제치고 5위를 차지했다.

 

일본 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21.6%를 차지하며 프랑스(19.8%)를 체지고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입액은 재작년보다 1.5% 감소한 16억 달러(1조7145억원)를 기록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4.9억 달러, +5.3%), 미국(2.6억 달러, -5.8%), 일본(1.1억 달러, -10.9%), 태국(0.7억 달러, +8.9%), 영국(0.6억 달러, -6.8%) 순이었으며,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품(4.5억 달러, -6.3%), 방향용 제품(2.6억 달러, +1.0%), 색조화장품(1.7억 달러, +13.8%) 순이었다.

 

◇ 색조화장품, 립제품 중심으로 생산 증가액 가장 많아

 

지난해 국내 화장품 대부분 유형에서 생산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6.8% 증가한 14조5102억원을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7조9455억(54.8%), 색조화장용 2조1328억(14.7%), 인체세정용 1조8902억(13%), 두발용 1조5467억(10.7%)이었다. 

 

특히 색조화장품은 립제품 중심으로 가장 많은 생산 증가액(+28.2%, +4,689억원)을 보이며 기초화장품에 이어 생산액 2위를 차지했다.

 

인체세정용 제품의 생산액은 폼클렌저, 화장비누 등 사용이 늘면서 재작년 대비 3.9% 증가(+718억원)했고, 아이섀도 등 눈화장 제품, 두발 염색 제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각각 9.9%(+314억원), 11.2%(+33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18.2% 증가한 5조4391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37.5%를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복합기능성제품이 증가 추세인 것은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한 번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업계의 기술력 상승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1,000억 원 이상 기업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업체는 1만1861개였다. 또 생산액 1,000억 원 이상 업체 수는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액 10억 이상 업체 수는 773개, 10억 미만 업체 수는 1만1088개였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액은 엘지생활건강 3조4954억 원(+2.0%), 아모레퍼시픽 3조2340억 원(-7.3%), 애경산업 3180억 원(+17.8%), 애터미 1766억 원(-0.8%), 클리오 1602억 원(+36.2%) 순이었다.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 생산액과 상위 10개 품목 생산액은 지난해 대비 각각 4.0%(249억 원), 3.4%(4,011억 원) 감소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넷마블, 22일 외부 해킹 공격으로 개인정보 유출
국내 대표 게임사 중 하나인 넷마블에서 22일 해킹 공격을 받아 고객 일부 개인정보와 PC방 가맹점주의 일부 개인정보, 일부 전현직 사원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이 유출됐다. 이번 해킹 피해는 PC 게임 사이트에서 발생해 온라인 게임보다는 PC 게임 사이트 이용 고객이 더 컸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PC 게임은 △바둑 △장기 △마구마구 △사천성 △야채부락리 △윷놀이 △캐릭챗 △당구/포켓볼 △모두의 마블 등 총 18종이다. 장르를 가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의 게임에서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모바일 게임 및 넷마블 런처 게임은 피해가 없었다. 넷마블 측 홈페이지에 올린 사과문에서 “PC 게임 사이트의 고객 정보와 2015년 이전 가맹 PC방 사업주 정보, 일부 전현직 임직원 정보가 유출됐다”며 “사실을 인지한 즉시 관계기관에 즉시 신고했다”고 밝혔다. 현재 넷마블 측은 유출 원인과 규모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사과문에 따르면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고유식별번호나 민감정보 유출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유출된 비밀번호는 넷마블 측에서 암호화해 보관 조치를 해 해당 정보만으로는 악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넷마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