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K화장품 수출 85억 달러로 세계 4위 …1000억 이상 기업 12개

지난해 국내 화장품 중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 넘게 감소했으나, 미국, 유럽, 일본 등으로 수출은 증가해 재작년보다 6.4% 늘어난 85억 달러(약 11조원) 세계 4위를 유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 국내 화장품 생산·수입·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약 28억 달러(약 3조6천억원)로 5년째 가장 많았으나, 규모는 2022년 대비 23.1% 감소했다.

 

반면, 작년 북미 수출액은 13억 달러(약 1조7천억원), 유럽 수출액은 11억 달러(약 1조4천억원)로 재작년 대비 44%, 49.7%씩 급증했다.

 

작년 미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44.7% 증가한 12억 달러(약 1조6천억원)를 기록하며 처음 10억 달러를 넘었다. 작년 미국의 화장품 수입액 비중은 국내 제품이 중국을 넘어 5위에 올랐다.

 

이밖에 작년 중동 수출액도 전년 대비 39.9% 늘었고 오세아니아는 39.2%, 중남미는 28.7% 증가하며 수출국이 165개국으로 확대되면서 수출 다변화 흐름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는 미국으로 화장품 수출이 1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수출액이 재작년보다 44.7% 높아지면서 미국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중국을 제치고 5위를 차지했다.

 

일본 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21.6%를 차지하며 프랑스(19.8%)를 체지고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입액은 재작년보다 1.5% 감소한 16억 달러(1조7145억원)를 기록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4.9억 달러, +5.3%), 미국(2.6억 달러, -5.8%), 일본(1.1억 달러, -10.9%), 태국(0.7억 달러, +8.9%), 영국(0.6억 달러, -6.8%) 순이었으며,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품(4.5억 달러, -6.3%), 방향용 제품(2.6억 달러, +1.0%), 색조화장품(1.7억 달러, +13.8%) 순이었다.

 

◇ 색조화장품, 립제품 중심으로 생산 증가액 가장 많아

 

지난해 국내 화장품 대부분 유형에서 생산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6.8% 증가한 14조5102억원을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7조9455억(54.8%), 색조화장용 2조1328억(14.7%), 인체세정용 1조8902억(13%), 두발용 1조5467억(10.7%)이었다. 

 

특히 색조화장품은 립제품 중심으로 가장 많은 생산 증가액(+28.2%, +4,689억원)을 보이며 기초화장품에 이어 생산액 2위를 차지했다.

 

인체세정용 제품의 생산액은 폼클렌저, 화장비누 등 사용이 늘면서 재작년 대비 3.9% 증가(+718억원)했고, 아이섀도 등 눈화장 제품, 두발 염색 제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각각 9.9%(+314억원), 11.2%(+33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18.2% 증가한 5조4391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37.5%를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복합기능성제품이 증가 추세인 것은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한 번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업계의 기술력 상승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1,000억 원 이상 기업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업체는 1만1861개였다. 또 생산액 1,000억 원 이상 업체 수는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액 10억 이상 업체 수는 773개, 10억 미만 업체 수는 1만1088개였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액은 엘지생활건강 3조4954억 원(+2.0%), 아모레퍼시픽 3조2340억 원(-7.3%), 애경산업 3180억 원(+17.8%), 애터미 1766억 원(-0.8%), 클리오 1602억 원(+36.2%) 순이었다.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 생산액과 상위 10개 품목 생산액은 지난해 대비 각각 4.0%(249억 원), 3.4%(4,011억 원) 감소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