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산 건강보조식품, '붉은 누룩' 먹고 1명 숨져, 80여명 입원

일본에서 '홍국(紅麴, 붉은 누룩)' 성분이 들어간 건강보조제를 먹고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고바야시 제약은 26일 자사 제품 ''홍국 콜레스테 헬프(紅麹コレステヘルプ)'를 장기간 복용한 소비자 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고 발표했다.

 

 

콜레스테롤 분해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홍국의 주원료, 붉은 누룩곰팡이(홍국균)는 쌀 등을 발효시켜 붉게 만든 것이다.

 

사망자는 지난 2021년 4월부터 약 3년간 이를 복용해오다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겨 사망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고바야시 제약은 지난 22일 홍국 성분의 제품을 섭취하고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는 제보가 있다며 피해 사례를 조사하는 동시에 자사 제품 3종에 대한 리콜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이 제품을 먹고 신부전 등 신장 기능에 장애가 생겨 입원했다는 신고가 25일까지 약 26건에 달했다. NHK에 따르면 이후에도 계속 신고가 이어져 26일까지 추가로 약 50건의 입원 사례가 보고됐다.

 

피해자들은 신장 기능 저하 등을 호소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본 식품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지난 2014년 홍국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인한 피해가 보고됐다.

 

원인은 홍국균이 만들어낸 곰팡이 독소인 '시트리닌'으로 확인돼 유럽연합(EU)은 홍국균을 이용한 제품에 사용 기준치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고바야시 제약은 이번 일로 문제가 된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시트리닌은 검출되지 않았다면서 일부 원료에 의도치 않은 성분이 포함됐을 수는 있다고 밝혔다.

 

홍국을 이용해 생산된 다른 제품에도 비상이 걸렸다. 고바야시제약이 제조한 홍국 원료를 구입해 된장과 술, 낫토 등의 제품을 만든 업체들은 물론, 다른 홍국 관련 제품을 판매 중인 회사들도 리콜에 나서고 있다.

 

일본 소비자청은 고바야시 제약을 비롯한 관련 업체들에 제품의 안전성을 재검증해 보고하도록 요구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