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9.6℃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2.9℃
  • 구름많음대전 9.6℃
  • 박무대구 7.9℃
  • 구름많음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12.1℃
  • 맑음부산 15.8℃
  • 구름많음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7.7℃
  • 흐림강화 10.9℃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6.6℃
  • 구름많음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6.1℃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금융


금리와 물가에 지친 서민들

 

펜데믹 이전에는 돈을 아무리 살포해도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디플레이션을 걱정할 정도였다. 단지 오르는 것은 부동산과 주식시장 가격이었다. 그런데 이 상황이 바뀌어서 서민들에게 돈을 쏴줬기 때문에 상품 가격이 올라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 위기는 자산 가격 버블보다는 실질적인 상품가격 상승, 곧 인플레이션으로 일어난 위기임을 알 수 있다.  


지난 2008년 금융 위기가 일어났을 때에는 월스트리트에서 데 모가 크게 일어났다. 그 당시 금융위기는 미국 최상위 1%의 탐욕이 가져온 금융위기라고 서민들이 생각하면서 그 들이 잘못했는데 피해는 나머지 국민들이 돌아갔다면서 월가를 점령해 시위를 벌였다. 이로 인해 세계 경제는 소득 불평등 양극화 문제가 수면위로 올라왔다.

 

그리고 2014년 제닛 엘런의 자료 발표한 이후 소득불평등과 부의 편중은 힐러리와 샌더스 상원의원 사이에 대선 어젠다가 되었다. 그리고 민주당과 공화당의 TV토론과 논쟁 등이 굉장했다. 이를 통해 미국 국민들이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부자증제 공감대가 형성됐다.

 

금리와 물가에 지친 서민들, 은행 앞에서 횃불 봉기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선이나 총선에서 이 문제가 크게 논의된 적이 없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나는 미국만큼 국민들에게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크게 어필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돈 장사를 하는 은행의 거대한 수익은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 부자 증세 필요성에 대한 의식에서 미국보다 많이 떨어져 있다는 증거다.  


미국은 연준이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좀 더 독립적인 기관이 될 필요성이 있다. 여태까지 연준은 자주적이며 독립적인 기관이라는 평들이 있었는데 사실 내막을 들여다보면 그렇게 독립적이지 못하다. 그 이유는 미국 대통령이 연준 의장을 임명하니까 말이다.

 

통화주의를 제창한 밀턴 프리드만 교수는 정부가 일정한 통화증가율을 사전에 공시하고 이를 장기간 걸쳐 매년 철저히 준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통화량이라는 것은 그 나라를 성장시킨 GDP 대비 그보다 더 많은 수준의 통화량이면 족하다는 논리다. 그런데 미국 정부조차 프리드만 교수의 주장을 무시하고 지금 엄청난 국채를 발행해서 32조 달러의 규모가 넘는다. 


연준도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본원통화 발행액을 열배 이상 증가시켰다. 1~2%가 증가한 것도 아니고 14년 사이에 1000%이상 증가함으로써 미국 정부나 연준이 달러발행을 천문학적인 규모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또한 만만치가 않다.

 

미국은 소비자 물가에 주택가격 대신 자가 주거비 개념으로, 즉 자기 집이라도 임대를 주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임차료로 주거비를 산정하는데 우리나라 지수에는 이런 자가비 개념조차 들어가 있지 않다. 즉 우리나라의 집값이나 임대 월세가 아무리 올라도 물가지수에 반영되지 않는다. 아마 이런 물가가 반영되면 지금보다 인플레율은 2%이상 높아질 것이다. 


올라도 모든 것이 너무 오르고 있다. 돈의 가치가 금리라 고 하는데 그렇게 많은 돈을 풀어놓고 금리를 올리면 대출을 받은 소상공인, 서민들은 어떻게 하란 말인가?

 

은행은 어김없이 금리를 올리고 물가도 오르는 이 상황을 빈익 부 층은 견디기 어려울 것이고 더 이상 견딜 수 없을 때 횃 불을 들고 은행 앞에서 봉기할 수도 있다. (미국 금융자본 주의 역사는 홍익희의 경제 산책을 참고했음)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